내 이름은 망고 - 제4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36
추정경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많은 떠들썩한 곳에서 자신의 이름은 용케 알아듣는다는 칵테일 효과. 문득 그 단어가 생각난다. 책 뒷표지에 있는 심사평을 읽으니, 아니 그 보다 앙코르 와트 앞을 뚝뚝이가 지나가는 그림을 보자 이 곳이 어디인지 금방 알겠다. 마침 올 초에 캄보디아에 다녀 온 후로 왜 이리 캄보디아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가 눈에 띄는지 모르겠다. <안녕, 스퐁나무>가 출간된 지는 좀 됐어도 언젠가는 읽어야겠다는 생각만 했지 꼭 읽고 싶다는 생각을 못했는데 캄보디아에 다녀온 후에 궁금해서 찾아 읽었더랬다. 그런데 이번에는 캄보디아를 배겨으로 한 청소년 책이다. 내가 갔다 왔기에 눈에 더 잘 띈 것인지 아니면 안 다녀왔더라도 어차피 나온 책이니 상관없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여하튼 내게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현상'이다.

  처음 시작은 캄보디아에서 여행 가이드를 하고 있는 수아 엄마의 철딱서니 없는 행동부터 시작한다. 아무리 딸이 일찍 철이 들었다고 해도 그렇지 어떻게 엄마라는 사람이 이처럼 무책임하고 생각없이 살 수 있을까 싶어 화가 날 정도다. 가이드를 하기로 되어 있는데 아침에 사라져 버린다? 이건 누가 봐도 말도 안되는 상황이다. 게다가 엄마라는 사람이 딸이 감춰 놓은 돈까지 훔쳐가지고. 간혹 드라마에서 철 없는 부모가 나오기도 하지만 그건 극적 구성을 위해서 과장을 한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여기도 그런 부모가 있다. 뭐, 이것도 어차피 드라마와 별반 차이 없는 허구이긴 하지만 그래도 어쩐지 괜히 실제 있었던 일만 같다. 아마 여기 나오는 곳들이 모두 갔던 곳이라 눈앞에 훤히 그려지기 때문일 게다. 그래서 책의 내용보다는 여행 일정과 내가 갔던 일정을 견주며 추억을 되새기던 시간이 많기도 했다. 그러다 그동안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가 마지막에 드러난 반전에 혼자 눈물 훔치긴 했다.

  캄보디아는 정말이지 덥다. 건기에 갔는데도 낮에 돌아다니며 물을 얼마나 마셨는지 모른다. 그리고 씨엠립 시내의 모습도 눈에 선하다. 6번 도로를 따라 앙코르 와트도 가고 펍 스트리트도 가고 실크 농장도 갔었지. 피아노가 붙어 있던 가게 옆집에서 맥주를 마시기도 했다. 다만 우리를 안내했던 가이드는 수아처럼 캄보디아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초짜가 아니라 아주 노련하고 아는 것도 많아서 내내 캄보디아의 역사를 이야기해 줬다는 점은 다르다. 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들어서 자야바르만 7세와 폴 포트 등 많이 들었던 것들만 기억나고 나머지는 모두 뒤죽박죽이 되어서 문제지.

  엄마를 대신해 얼떨결에 가이드를 하게 된 수아와 마찬가지로 엄마를 대신해 현지 안내인을 맡게 된 쩜빠가 엮어 내는 이야기가 아슬아슬하면서도 가슴 뭉클하다. 수아의 엄마는 도망친 것이지만 쩜빠의 엄마는 아파서 병원에 간 것이 다를 뿐 둘의 처지는 비슷한 셈이다. 하긴 다친 아빠를 대신해 뚝뚝이를 모는 쏙천도 수아와 다를 게 없다. 어째 여기는 모두 이처럼 무거운 삶을 짊어진 청소년들만 나오는지, 원. 하긴 캄보디아에서는 열 살이 안 된 아이도 팔찌나 엽서 등을 파니 청소년들이라면 집안의 한 일꾼으로서의 역할을 해야하는 게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처음부터 좋은 인연이 아니었던 쩜빠와 수아가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과, 무엇보다 수아가 현실을 피해 달아나고만 싶어했다가 결국 현실을 인정하고 자신을 좋아하게 되는 과정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엄마와 자신을 버린 아빠를 원망하고, 혼자 남은 자신마저 버릭 도망가 엄마를 원망하지만 사실은 그게 아니었다는 당연한 결론(그러나 그 원인은 당연하지 않았다.)에 이르렀을 때는 그동안 뭐 이런 엄마가 다 있나 싶었던 내 마음마저 녹아버렸다. 그래도 미워해야 하는데, 수아가 엄마를 미워했던 것처럼 말이다. 수아야 엄마니까 나중에 사실을 알고 이해할 수 있지만 독자는 제삼자니까 계속 미워할 수도 있는데 그럴 수가 없다. 그러니까 작가에게 설득당한 셈이다. 

  툭툭 내뱉는 말투로 기분내키는 대로 말하는 수아의 이야기나 여기저기 던져 놓기만 하는 것 같은 글투가 딱 요즘의 분위기다. 동화나 청소년 소설의 문체가 점점 이런 식으로 흘러가는 과정의 한 부분이다. 그러니까 약간은 상투적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상투적인 것이 부정적인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것들이 모여 하나의 사조를 이루기도 하는 것이라는 어느 평론가의 말처럼 이것도 그 일부를 이루는 것일 뿐이라는 생각도 든다. 게다가 이 책은 여기가 아닌 다른 곳을 배경으로 그곳에서도 여기처럼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니 시야를 넓혔잖은가. 여하튼 내게는 추억도 함께 선물해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