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The Collection 2
유주연 글.그림 / 보림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한창 그림책에 빠져있을 때 참 행복했다. 멋있는 그림책이 읽어도 읽어도 계속 있었으니까. 그러다 어느 순간부터 마음이 설레는 그림책을 만나기 힘들어졌다. 물론 새로운 그림책은 계속 나오지만 뭔가 울림이 있는 책은 만나기 쉽지 않았다. 게다가 컴퓨터그래픽으로 작업한 책이 많아지면서 손으로 직접 그린 책은 만나기 더욱 어려워졌다. 볼로냐그림책 전시회에 가도 눈길이 가는 책은 역시 손으로 그린 그림이었다. 기법이 다양해진 것은 좋으나 어딘지 모르게 깊이보다는 기교에 더 집중한 듯해 아쉬움을 느끼기도 했다.  

 우리나라 그림책 초창기를 이끌던 작가들이 수면 아래로 들어간 다음, 그 뒤를 잇는 작가가 그다지 많지 않다. 더욱이 꾸준한 작품 활동을 하는 그림책 작가를 만나기는 더 힘들다. 동화의 경우는 새로운 작가가 꾸준히 나타나고 각자 활발히 작품 활동을 하는데 왜 그림책은 그렇지 못한 것일까. 일각에서는 그림책의 경우 글 작가와 그림 작가가 따로 작업을 해야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독자의 눈이 까다로워졌기 때문에 선뜻 발을 못 들여놓는다고 하는데, 그 보다는 출판사에서 작업이 쉬우면서도 안전한 외서번역이나 동화로 눈길을 돌리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러니까 요지는 우리나라 작가의 그림책을 만나면 일단 기쁜데 이처럼 전적으로 작품에 비중을 둔 책을 만나서 더욱 기쁘다는 얘기다. 'The Collection' 시리즈를 내면서 '시대의 유행을 벗어나 그림책의 본래 기능을 되살'리고, '시각언어를 통해 예술적 감동을 전하'는 책을 내겠다고 하니 나처럼 그림책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책을 좋아하는 독자에게는 좋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치르치르와 미치르가 행복을 의미하는 파랑새를 찾아 한참을 헤매고 다니지만 알고 보니 그것은 자신의 집에 있었다는 이야기가 연상되는 책인 동시에 수묵화의 필치로 현대적인 도시를 표현했어도 묘한 어울림이 느껴지는 책이다. 대신 파랑새가 아니라 빨간 새지만. 흑백 그림책을 유난히 좋아하는데 이처럼 수묵으로 된 책은 처음 본다. 애석하게도 수묵화의 기법을 잘 몰라서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었다는 것 정도만 알겠다. 

 빨간 새가 넓은 곳으로 가기 위해 자신이 살던 곳을 떠나 날아간 곳은 우리가 흔히 보는 세계다. 커다란 빌딩이 꽉 차있고 높은 곳엔 피뢰침이 설치되어 있으며 곳곳에는 공사하느라 크레인이 서있다. 친구가 강에 떠 있는 줄 알고 내려가 보면 그건 새를 흉내낸 플라스틱일 뿐이다. 그런 걸 보고 새는 무슨 생각이 들었을까. 어디를 다녀봐도 자신이 살던 곳이 가장 좋다는 것을 느끼지 않았을까. 인간이 사는 곳은 그 어느 곳도 안전하지 않을 뿐더러 자연적이지 않으니까. 결국 헤매다니다 자신의 친구들이 있는 곳으로 돌아온 새는 주변에 있는 진짜 친구들을 다시 보게 될 것이다. 처음에 위만 바라봤던 빨간 새가 돌아와서는 옆과 아래의 친구들을 보는 것만 봐도 마음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어쨌든 현재보다는 미래를, 상업성보다는 가치를 더 생각하는 이런 그림책을 앞으로도 꾸준히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