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괴물은 정말 싫어! 작은도서관 31
문선이 글.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둘째는 시험기간만 되면 회사 다니면 시험 안 봐도 되지 않겠느냐며 아빠가 부럽다는 말을 달고 산다. 회사 다녀도 시험 보고 학교 다니는 것보다 훨씬 힘들다고 이야기해도 매 시험기간만 되면 똑같은 이야기를 한다. 하긴 시험이 좋은 사람이 어디 있을까. 그렇기에 시험을 괴물이라 칭하는 준석이 말에 아이들은 선뜻 동의할 것이다. 어린이가 시험을 지금까지 배운 것을 정리한다는 차원이라고 여기면 얼마나 좋을까만은 현실은 결코 그렇지 않다. 부모는 몰라도 학부모는 절대 그렇게 생각할 수가 없다. 씁쓸하지만 그게 바로 현실이다. 

유치원에 다닐 때는 호기심이 많고 창의성이 풍부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아이일수록 초등학교에 가서 적응하기 힘들다는 게 보편적인 평가다. 실제로 둘째 친구 중에도 창의성이라면 저리가라 할 정도였던 아이가 학교에서 규격화된 규율을 어려워하는 걸 보았다. 준석이도 그렇다. 오죽하면 '1초'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주변에 대해 끊임없이 궁금해하던 아이였다. 그러나 학교에 들어가고 새로운 아파트로 이사가서 공부 잘 하는 서현이 엄마랑 친하게 지내면서 준석이의 불행은 시작되었다. 그 많던 호기심은 이미 사라진지 오래다. 학원을 뺑뺑이 돌고 오면 파김치가 되니 무슨 호기심이 생기겠는가. 

그러다 우연히 이상한 시계를 발견하고, 그 시계가 특별한 능력이 있다는 걸 발견하면서 준석이와 친구들에게 새로운 사건이 발생한다. 그러나 만약 준석이가 미래를 볼 수 있는 시계를 발견해서 미리 예측가능한 것들만 모면하는 방식이었다면 그저 그런 동화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는 비록 시계의 도움을 받기는 했지만 그 과정에서 친구들과 공부하는 방법을 깨닫게 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문제를 함께 풀어보고 스스로 부딪쳐보려 노력하는 것 자체가 이미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전에는 스스로 풀어보려고 노력조차 하지 않았으니까. 작가가 가장 염두에 뒀던 부분도 이 부분이 아니었을까 싶다. 

시간경찰관이라는 요소가 있어서 저학년들에게는 훨씬 재미있게 다가갈 것이다. 물론 처음에는 굳이 시간경찰관이 필요했을까 싶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그건 어른의 잣대로 바라본 것임을 깨닫는다. 가끔 나는 유치하다고 생각한 것들이 의외로 아이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는 걸 보며 내 기준으로 보지 않기로 했다. 오히려 시계가 깨지거나 잃어버리는 것으로 뒷마무리를 했다면 다른 이야기와 그다지 차이나지 않았을 것이다. 주인공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방식, 즉 일인칭 주인공 시점이라 가끔 이게 과연 요또래 아이들의 생각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싶은 것도 있었던 게 사실이지만 이 또한 다분히 주관적인 생각일 수도 있기에 그냥 넘어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