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시의 거짓말 - 워렌 버핏의 눈으로 한국 언론의 몰상식을 말하다
최경영 지음 / 시사IN북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시사적인 이야기를 하며 열을 내다가 항상 도달하는 결론이 있다. 바로 지금의 언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 결론이 거기에 이르면 허탈감에 빠진다. 내가 어떻게 해볼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얘기니까. 게다가 언론이 정치와 사회경제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언론 자체가 하나의 권력으로 군림하니 그것을 누가 견제한단 말인가. 그렇다면 해결책은 하나다. 언론인 스스로 자신의 고유 역할을 되찾는 수밖에. 그러나 말이 쉽지 이 또한 쉬운 게 아니라는 것 또한 안다. 그래서 이처럼 작정하고 자신들의 이야기를 드러내는 사람에게 일단 박수를 보내고 싶다. 지은이가 말하듯이 기자는 직장에 충실해야 하는 월급쟁이일 뿐이라고 생각할 때 언론인 본연의 의무는 뒷전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지금이 바로 그런 시기다. 

공중파 방송에서 하는 이야기나 신문에서 하는 이야기가 전부 진실이 아니라는 것쯤은 모두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알고' 있을 뿐이지 어떤 현상에 적용시키지는 못한다. 어떤 사건이 터지면 언론에서 보여주는 범위를 벗어나서 사고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사실 나도 뉴스에서 나오는 것이 사실일지언정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안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아니, 솔직히 그 전에는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던 것 같다). 학교 다닐 때 적극적인 운동권은 아니지만 그래도 자연계열에서 그 정도면 운동권이라고 할 만한 선배의 말을 듣고서야 뭔가 번쩍하는 느낌이었다. 뉴스에서는 말 뿐만 아니라 이미지가 상당히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그때 알았다. 같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어느 쪽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언론사가 무엇을 중요시하는지 알 수 있고 누구를 어느 방향에서 인터뷰하느냐에 따라 어떤 시각을 갖고 있는지가 나타난다는 사실은 이제 일반상식이 되었다. 물론 그렇다고 '왜'라는 의문을 갖고 언론을 바라보는 사람이 많다는 얘기는 아닐 것이다. 전에는 기자나 아나운서의 의견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 뉴스에서 어떻게 그 언론사의 논조가 드러날 수 있는지 의아해했으나, 이제 그렇지 않다는 것을 당연히 안다. 특히 이념에 따라 보는 시각이 확연히 차이나는 사안이 발생했을 때를 보면 차이가 두드러진다. 그러나 이런 사실은 가만히 있으면 보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의심을 가질 때라야 비로소 보인다. 즉 개인이 똑똑해져야 한다는 얘기다. 지은이가 기자는 모든 것을 의심해야 한다고 했는데 시청자도 마찬가지다. 

공영방송이라는 KBS가 확실히 어느 순간부터 변했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드라마에서조차 현 정부의 시각을 대변하는 듯한 이야기를 해서 뜨악하기도 했다. 특히 요즘처럼 방송 대부분을 G20에 맞추는 것을 보며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했다. 일전에 원전수주 때도 좀 심하다 싶었는데 역시나 뒷이야기가 있었단다. 여기서는 주로 경제에 초점을 맞춰서 이야기하는데 외국 언론은 훨씬 전부터 우리나라의 원전수주가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지만 어쩐 일인지 우리나라 언론에서는 그 때는 전혀 신경쓰지 않았다고 한다. 다른 사안들은 부풀려서 보도하던 언론들이 왜 그랬을까. 그것은 바로 대통령의 방문과 시기를 같이 해서 발표하기 위해, 즉 대통령의 업적인 것처럼 보여지게 하고 싶어 그랬다는 얘기다. 당시에도 원전수주를 단기간에 결정하는 것이 아니기에 그보다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노력했다는 것이 당연한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뉴스에서는 마치 이 정권이기에 가능한 치적인 양 보도했던 기억이 난다. 지은이가 지적하기를 이것은 기자들이 정부나 기업의 보도자료를 그대로 받아쓰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좀 더 호기심을 갖고 깊이 파고들어가려는 기자본성이 사라졌다는 얘기다. 어디 그러한 적이 한두번인가 싶어 허탈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외국도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이것을 다행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요즘은 일간지의 신뢰도가 워낙 떨어져서 일간지 대신 인터넷에서 본 뉴스를 인용하며 마치 객관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처럼 포털에서 본 뉴스가 바로 일간지가 내보내는 뉴스라는 점이다. 사람들이 그 사실은 간과한 채 인터넷이라는 형식에만 집착한 결과다. 외국에서 주목하는 오마이뉴스가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물론 전 정권과 친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현 정권에 밉보인 이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 우리의 시민의식이 거기까지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은 아닐런지. 

상당부분 내 생각과 일치하기 때문에 속 시원히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만약 나와 반대의 시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어떻게 생각할까. 근거를 가지고 객관적으로 차분히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감정적으로 비판만 하는 어조라서 반대 시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귀기울여 들을 것 같지 않다. 내가 조선일보를 아예 한 단계 접고 대하는 것처럼. 그 부분이 아쉬웠다. 좀 더 이성적으로 접근했으면 어땠을까하고. 진보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의 특징이 어느 선까지는 안다는 전제하에, 아니 당연히 알고 있어야 마땅하다는 전제하에 흥분해서 이야기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나도 종종 남편으로부터 현실은 외면한 채 이상만 추구한다는 핀잔을 듣곤 한다. 또 하나, 정치나 사회뉴스에 대한 이면의 이야기를 기대했는데 경제를 주로 이야기해서 약간 아쉬웠다. 그나저나 지은이가 작정하고 썼다는데 한편으론 걱정이 된다. 과연 이 기자는 복직하고 계속 남아있을 수 있으려나. 이처럼 신랄하게 본인의 회사를 비판했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