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라크슈미입니다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9
패트리샤 맥코믹 지음,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책을 오래전에 읽어 놓고 리뷰 쓰기가 겁나서 미루다 이제야 마음 잡고 쓴다. 무엇 때문에 리뷰 쓰기를 두려워하는 걸까 생각해 본다. 아마 딸을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책을 읽었기 때문 아니었을까. 그렇다고 이런 내용의 이야기를 처음 읽은 것도 아니다. 부모가 딸을 빚 갚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는 경우도 보았고 잘 살게 해준다는 이야기에 속아 딸을 노예로 넘기는 경우도 보았다. 그런데도 여전히 이런 이야기를 읽고 되새기는데 많은 용기가 필요하다.  

특히 부모가 의도적으로 돈을 받고 딸을 넘긴 경우라면 부모를 실컷 욕하기라도 할텐데 라크슈미처럼 속아서 인생을 힘들게 사는 이야기는 더욱 안타깝다. 물론 라크슈미의 새아버지는 알면서도 모른체했으니까 그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릴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보다는 술주정뱅이에 노름꾼인 아버지라도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게 낫다는 엄마의 무기력함과, 또 그럴 수밖에 없는 사회제도가 답답하다. 우리 사회가 완전한 자유와 평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라크슈미가 처한 현실보다는 훨씬 낫다는데 위안을 느껴도 되겠지만 그 조차도 라크슈미와 같은 아이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먼저 든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라크슈미가 결국은 도움을 받아 새로운 삶을 살 기회가 생겼다는 점이다. 마지막까지 자신의 삶에 대해 희망을 잃지 않았기에 가능했다. 같은 공간에 있었고 라크슈미가 함께 떠나자고 해도 확신이 없었던 아니타는 그냥 남지 않았던가. 그곳에 계속 남아 있는 아이들은 과연 무엇에 희망을 걸고 살아야 할까. 

이 이야기가 허무맹랑한 소설이 아니라 어딘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기에 더욱 안타까웠다. 사람의 욕심은 과연 끝이 있을까. 뭄타즈처럼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해서 다른 사람을 이용하는 사람이 어디 한둘이라야 말이지. 그것도 어린이를, 조금의 양심이라도 있다면 차마 시키지 못할 일들을 자신의 돈벌이에 이용하는 파렴치한 인간이 어느 곳에나 있으니. 뭄타즈는 그들의 사회제도를 '잘 이용'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여하튼 너무 화나는 이야기지만 당장 바뀔 것 같지 않아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