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수리마수리 요걸까? 조걸까?
도브로슬라브 폴 글.그림, 이호백 옮김 / 재미마주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득 콜럼버스의 달걀이 생각난다. 달걀을 세워보라는 주문에 모든 사람들이 낑낑대며 시도해 보지만 결국 실패로 돌아가자 콜럼버스가 한쪽을 톡톡 깨고 세웠다는 이야기 말이다.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그제서야 그렇게 하는 거라면 나도 할 수 있었다고 이야기했다지. 이미 누군가가 해놓은 것을 보면 무척 쉬워 보인다. 그러나 막상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그것을 생각해 내기란 결코 만만치 않다. 콜럼버스의 달걀처럼 말이다. 이 책을 보며 왜 그런 생각이 들었을까. 사실 이 책의 방식이 없는 것을 새롭게 창조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림책, 그것도 단행본 시장에서 이런 책은 보질 못했다. 유아용 교구나 보조 교재에서 본 듯하지만 정확히 생각나진 않는다. 

어쨌든 원리도 간단하고 별다른 기교도 없지만 함께 들어있는 투명한 빗살무늬 필름을 그림에 대면 누구나 감탄사가 나온다. 사실 처음 책을 볼 때부터 어떤 책이라는 걸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데도 직접 해보면 재미있다. 표지를 넘기면 파란색과 하얀색의 이상한 뭔가가 나온다. 여기서 무조건 필름을 대지 말고 먼저 무슨 그림인지 추측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애석하게도 나는 외출했다 들어오니 벌써 남편과 둘째가 이미 한바탕 갖고 논 뒤라 그럴 기회가 없었다. 

어떤 것은 필름 없이 그림만 봐도 대충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확실하지 않으니 회색 필름을 사선에 잘 맞춰보면 윤곽이 확실히 드러난다. 마치 홀로그램 같기도 하다. 살짝 기울이면 다른 그림이 나타나듯 필름을 살짝 옮기면 전혀 다른 그림이 나타나니 말이다. 이런 것을 그림책으로 펴내려면 모험을 해야 할 것이다. 우선 필름을 따로 제작해야 하니 제작비가 추가될 것이고 잃어버릴 것에 대비한 조치도 취해야 할 테니까. 그래서 앞부분에 필름을 보관하는 작은 집을 마련해 놓았다. 얼마전에 <피노키오는 왜 엄펑소니를 꿀꺽했을까> 책을 산 지인들이 그 안에 있는 설명서를 잃어버리면 안 될 것 같다며 표지 안쪽에 작은 봉투를 하나씩 만들었던데 그것과 비슷하다. 비록 여러가지 신경쓸 거리가 생기더라도 이처럼 새로운 놀이책을 펴내는 재미마주가 고맙다.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필름을 잃어버릴까 염려가 되더라도 아이들이 새로운 것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인다. 항상 경제적 가치보다 아이들을 먼저 생각하는 출판사라고 생각하는 건 재미마주에 대한 나의 지나친 호의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