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저항하는가 - 국가에 의한, 국가를 위한, 국가의 정치를 거부하라
세스 토보크먼 지음, 김한청 옮김 / 다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국가가 존재하지 않고서는 국민이 존재할 수 없다. 그렇기에 일본에 나라를 빼앗겼을 때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독립운동을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라는 게 모든 것에 우선할까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정당한 권리를 누리기 위해서 국가는 필수지만 그렇다고 모든 것에 우선한다는 얘기는 아닐 것이다.  

가끔 다른 나라에게 못되게 구는 행태를 보면서 과연 그 나라 사람들은 자신의 국가가 다른 나라 사람에게 어떻게 하는지 알고 있을까 의아할 때가 있다. 일례로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했을 때 악랄하게 행동했던 것을 일본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궁금했다. 과연 그들은 국가라는 이름 뒤에서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내지는 전혀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궁금했다. 모든 사람들이 식민지배와 착취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을까 싶기도 했다. 어느 사회나 잘못된 정책을 눈치채는 사람은 있게 마련이니까. 지금까지 일본은 워낙 전체주의적인 국가라서 모르는 것인가 답답했는데 꼭 그렇지도 않다는 걸 알았다. 그들 사회에서도 자신들의 지난 날의 잘못을 인정하는 사람도 있다는 사실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은 어떨까. 명분이 없는데도 무리하게 전쟁을 일으키고 자유와 평화를 위해서라는 핑계를 대며 다른 나라를 뒤에서 조종하는데 그에 대해 그 나라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궁금하다. 위에서 말했듯이 어디나 의식이 제대로 정립된 사람이 있기 마련이므로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는 게 당연하다. 한편에서는 국가의 이익에 위배되는 행동이라며 비난을 퍼붓더라도 말이다(문득 얼마전에 있었던 우리의 어떤 사건이 오버랩된다). 다만 아무래도 내가 그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질 수 없기에 기회가 오지 않으면 그러한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것 뿐이다. 그래서 세스 토보크먼처럼 비록 자기 나라의 치부가 드러나더라도 옳은 말 하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을 만나는 게 내게는 소중한 기회다. 

솔직히 굵직한 사건 외에는 미국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잘 모른다. 워낙 세계를 주무르는 나라다 보니 다른 나라보다 정보가 조금 더 많을 뿐이다. 책을 보며 답답했다. 우리가 우러러 보고 따라가기 위해 기를 쓰는 나라가 이런 모습이라니. 비록 현재의 수정자본주의가 잘못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여기에 나타난 모습을 보면 우리가 그 분야는 전부 따라잡은 셈이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오히려 위안이 되었다. 민주주의의 수호자를 자처하는 미국도 이럴진대 우리라고 별 수 있겠나 싶어서. 일종의 패배감이자 열등감일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민주주의의 역사는 우리가 훨씬 짧으니까. 

거대 자본에 좌지우지되는 경제정책이나 대홍수 이후 오히려 그곳에 살고 있는 주민들을 위한 정책을 펴는 것이 아니라 일부 기업가의 이익을 위한 정책을 펴는 것이 어쩜 우리와 똑같은지, 역시 잘 배웠다. 기본적으로 인간의 심성이 같아서 그런 건지 현대의 자본주의가 그렇게 갈 수밖에 없어서 그런 건지, 모르겠다. 그들의 세세한 내막을 모르기 때문에 내용을 자세히 이야기해주지 않으면 명확하지 않은 부분도 있었다. 그러나 그 분위기만은 충분히 짐작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 너무나 급진적이어서 차마 더 이상 실을 수 없었단다. 이러한 것조차 어디나 별반 다르지 않다니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