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맞춤 - 유기장이 삶을 가꾸는 사람들 꾼.장이 9
김명희 지음, 최정인 그림, 임재해 감수 / 사파리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파리 출판사(당시는 언어세상이었다.)의 <똥떡>을 보고 환호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단순히 재래식 화장실에 사는 귀신을 이야기해서가 아니다. 자투리 문화라는 말답게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분야에 관심갖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는 '꾼 장이 시리즈'를 내놓아 또 다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주인공 꼬마 아이는 할아버지 제사 때문에 시골 내려가서 우연히 헛간에 들어갔다가 거기서 향로를 발견하지만 그 가치를 알지 못하다가 꿈에서 제대로 알게 된다는, 조금은 진부한 줄거리지만 주인공의 꿈속 여행을 함께 하다 보면 유기를 어떻게 만드는지 알 수 있다. 특히 유기로 유명했다는 안성의 5일장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안성맞춤이라는 단어의 유래까지 알 수 있다. 만들 유기와 똑같이 나무 모형을 만들고 개펄 흙으로 나무 모형을 넣고 거푸집을 만들어 쇳물을 부어 만드는 과정이 글과 그림으로 잘 나타나 있다. 사실 지식책이 아니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할 수가 없어서 자칫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다행히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꿈 속을 나타내는 장면은 연기가 배경으로 깔려서 약간 몽환적인 느낌도 난다. 

집에서는 거의(아마도 '전혀'가 아닐는지) 사용하지 않는 유기. 솔직히 나도 유기가 무엇인지, 어떻게 만드는지 잘 모른다. 아니, 몰랐다. 그저 그릇을 닦기 위해 엄청 고생했다는 얘기를 가끔 들었을 뿐이다. 간혹 어떤 식당에 가면 놋그릇을 사용하는데 그냥 놋그릇을 '선택'했을 뿐이라고 가볍게 치부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게 아니라는 생각을 비로소 했다. 놋그릇은 찬음식은 차갑게, 더운 음식은 더운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니 말이다. 그렇게 깊은 뜻이 있었구나. 또 상한 음식이나 독이 묻으면 색이 쉽게 변하기 때문에 안전하기까지 하단다. 

모두 별로 신경쓰지 않고 이제는 서서히 사라지다시피 하는 유기에 대해 이렇듯 조금이나마 관심을 갖도록 하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뭐, 이 시리즈 전체가 그렇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마치 국시 꼬랭이 시리즈가 우리 문화를 다시 돌아보는데 일조를 했듯이, 이 책도 지금은 별로 대접받지 못하지만 한 분야에서 묵묵히 일하며 전통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리는 귀중한 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지금 아이들은 전통이라고 하면 무슨 고리타분한 것으로 생각한다. 학교에서 배워도 단순히 외워야 하는 대상일 뿐 이해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건 아이들만 탓할 게 아니다. 생활에서 직접 볼 기회가 없으니 당연히 '삶'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 현재 아이를 키우는 부모 세대도 전통에 대해 모르는 게 많기 때문에 직접 보여주거나 알려줄 수 없는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물론 그 '부모 세대'에는 나도 포함된다. 어느 순간 이래서는 안되겠다고 깨달은 후에 전통 관련 책을 열심히 보여준다. 비록 나도 잘 모르지만 그렇다고 이렇게 무작정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는 생각에서다. 그러면서 나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