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살리는 윤리적 소비 - 내가 물건을 잘 사야 지구가 건강해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세종도서) 상수리 호기심 도서관 14
정원곽 외 지음, 이상미 그림 / 상수리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리적 소비라는 말을 사용하게 된 것이 1800년대라고 한다. 요즘에 생긴 말인줄 알았는데 의외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그동안 오로지 앞만 보고 달려오느라 주변을 돌아볼 여건도 기회도 없었다. 그러니 그런 말이 있었다고 해도 귀에 들어오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좀 여유가 생겼다고 본다. 즉 무조건 경제적 가치만을 따질 것이 아니라 환경적, 문화적 가치도 따질 때가 되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여전히 그 길은 멀게만 느껴진다. 특히 오랫동안 일궈온 유기농 단지가 사라진다는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답답하다. 유기농은 하루 아침에 이뤄지는 게 아니라는 걸 알기 때문이다. 오랜 시간을 들여 힘들게 만들어 놓은 것을 하루 아침에 뒤집어 놓고는 다른 곳으로 옮기면 된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볼 때면 어찌나 한심하던지. 



유전자 조작 식품은 또 어떻고. 책에서도 이야기하듯이 아직 유전자 조작 식품이 유해한지 무해한지 알지 못한다. 가끔 유해하다는 실험결과가 나오긴 했지만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모른다. 그렇다고 무해하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이미 먹었는데 나중에야 문제가 있다는 게 밝혀지면 그 땐 어쩔 도리가 없다. 지금 가장 걱정하는 게 바로 이런 문제다. 그래서 유전자 조작 식품을 알고 먹진 않지만 그렇다고 안 먹는다는 보장이 없다. 콩이나 옥수수로 만든 다양한 식품에 이미 그런 것이 사용되고 있으니까. 그래서 명확히 표기하도록 하지만 그 마저도 완전히 믿을 수가 없다. 



요즘 국제 곡물가가 들썩이고 있단다. 쌀을 제외한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에게 어떤 위험이 닥칠지 예측 가능하다. 특히 밀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데, 그렇게 된 과정이 참 어처구니 없다. 이미 알고 있듯이 예전에는 상당량의 밀을 생산했으나 미국의 '도움'으로 지금은 밀을 거의 재배하지 않는다. 그러다 요즘들어 조금씩 우리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생산량이 늘고 있단다.



그런데 우리밀로 만든 빵이나 밀가루가 맛이 덜했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한때는 나도 우리밀을 사먹었으나(많이 먹지도 않지만) 요즘은 좀 뜸했다. 아무리 우리 것이 소중하다고 해도 무조건 우리 것을 먹으라고 강요할 수 없다. 뭐니뭐니 해도 식품은 맛이 우선이다. 이 책에서는 그 점을 정확히 지적했다. 맛이 덜해서 사람들이 먹지 않게 되자 노력해서 지금은 많이 나아졌다는 이야기와 함께. 만약 무조건 우리 것을 먹어야 한다는 식으로 강요했다면 조금 거부감이 들었을 텐데 이처럼 잘못을 인지하고 현실을 직시하고 있어서 믿음이 갔다.



얼마전에 공정여행에 대한 책을 읽으며 어찌나 공감을 했던지(비록 실천은 장담하지 못하더라도) 아직도 그 기억이 또렷하다. 그 후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범위에서 친환경적인 삶을 살고자 노력한다. 물론 전부터 그런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좀 더 적극적으로 변했다고나 할까. 이론적으로 알고 있고 사례들을 접하면서 얻은 수확이다. 거기다가 이제 이런 책까지 읽었으니 더욱 적극적으로 변할지도 모르겠다. 아니, 그 보다는 나 혼자만 알면서 조금씩 실천했던 것에서 더 나아가 이제는 아이들도 함께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보는 편이 맞겠다.

아이들이 이런 책을 읽고 공정무역이나 공정여행, 윤리적 소비에 대해 알게 된다면 그들이 커서 사회를 이끌어갈 때 한결 괜찮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 싶다. 아마 그래서 미래의 희망인 지금 아이들에게 다양한 책을 읽으라고 하는 것일 게다. 반면 성공을 위해 그와 관련된 책만 읽는다면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을 테고. 그래서 약간은 두서 없어 보이고 약간은 산만하더라도 이런 책이 꼭 필요하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