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월드 큐 9 - 꿈을 위한 노력, 석세스Q 두뇌월드 큐 9
이수겸 글, 비타컴 그림 / 소담주니어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둘째는 틈만 나면 만화책을 본다. 만화책 아닌 책들이 그토록 널려 있어도 스스로 찾아 읽는 건 만화책 뿐이다. 이제 잔소리하기도 지쳐서 그냥 둔다. 하긴 그 만화책들을 내가 준 것이니 누굴 원망하랴. 그 중에서도 나는 그닥 재미있게 읽지 않았는데 아이는 푹 빠져 보는 책이 있으니 바로 두뇌월드 큐 시리즈다. 몇 권은 함께 읽었는데 아이디어는 좋지만 만화라는 게 구성이 비슷해서 새로울 게 있나 싶은데 새로 나왔는지를 수시로 챙긴다. 그런데 읽어 보니 다음 이야기를 기다리지 않을 수 없겠다. 도대체 우주의 두뇌월드에 무슨 일이 생겼길래 Q들이 힘을 못 쓰는 걸까 궁금하니 말이다. 

사회에서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렸을 때 배워야 할 것들이 꽤 많다. 지식은 물론이요, 배려나 자제 등 인성과 관련된 것들이 있다. 요즘은 부모들이 자녀의 요구사항을 너무 잘 들어주기 때문에 남에게도 똑같은 기대치를 같는다고 한다. 그래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 쉽게 좌절하고 낙담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일에 성취도가 낮을 때 그걸 참고 끝까지 헤쳐나가려고 하지 않는다. 그래서 과제 집착력이 영재를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하지 않던가. 우주도 마찬가지다. 처음엔 스스로 공부하겠다고 다짐하고 진짜 열심히 했지만 시험을 망치자 모든 걸 팽개치고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한다. 석세스Q를 겨우 원상태로 만들어 놓았는데 다음엔 또 무슨 일이 벌어질지 나도 궁금하다. 이러니 다음 권을 기다릴 수밖에.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두뇌 구조를 무슨무슨Q로 이름 붙여서 이야기하는데 볼 때마다 그럴 듯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는 우주가 남에게 인정받거나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부회장 선거에 출마하며 벌어지는 일이다. 순수한 목적이 아니라 큐에 바람이 들어(허파에 바람들 듯) 빵빵하게 부푼 모습이 웃기다. 아이는 이 책을 읽고 꿈은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나 모르겠다. 그래서 마지막에 있는 워크북을 해보았다.


'하'가 딱 하나 있는데 뭔가 했더니 일을 다음으로 미루는 점이다. 알긴 아는군. 친구들에게 무뚝뚝하다는 말을 듣는 아이라 다정다감도 별로 상관없고 친구의 고민을 듣고 해결책을 이야기해 주는 것도 그렇다. 정신연령이 어려서 그런지, 남자라서 그런지 아직 친구끼리 고민을 나누는 걸 못 봤다.



친구들과 노는 건 좋아해도 깊게 생각하거나 친구관계를 고민하지는 않는다. 그래서인지 다른 친구에게 충고하거나 칭찬하지 않는가 보다. 그래도 약속과 칭찬에 대한 활동을 하면서 그런 것들이 중요하다는 걸 깨닫지 않을까.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실천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아니까 노력하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