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릿속을 헤엄치는 논리 물고기 생각쟁이들이 열고 싶어하는 철학꾸러미 5
양대승 지음, 김은하 그림 / 소담주니어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책을 볼 때 출판사를 따지는 편이다. 그것이 분명 선입견이며 편견이라는 걸 알면서도 아주 무시할 수가 없다. 그래서 이 책을 처음 봤을 때도 그냥 아이들에게 논리를 접하게 하기 위한 책 정도로 생각했다. 아이들에게 논리를 알려줘 봐야 얼마나 알아들을까 싶어 형식적인 책이라고 치부했다. 그런데 읽어 보니 괜찮다. 논리를 아주 쉽게 설명하고 있어 아이들에게 읽히면 정말 좋겠다. 이렇게 또 일반화의 오류를 저지르고 만다. 

얼마전에 둘째와 주장하는 글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기에 그와 연결시키며 이야기를 나눴다. 어린이에게 '논리'라는 단어는 생소하고 어려울지 모른다. 하지만 그렇다고 전혀 상관없는 단어는 아니다. 친구들 사이에서 논리적으로 이야기를 하면 유리한 경우가 많다. 아직 어려서 궤변을 늘어놓는 친구는 적겠지만 오류는 많이 저지른다. 피장파장의 오류를 이야기하며 예를 들어주니 아이가 피식 웃는다. 헌데 그게 어디 아이들 뿐일까. 어른도 마찬가지다. 특히 부부싸움할 때 가장 많이 저지르는 오류가 아닐는지. 위에서 이야기한 일반화의 오류는 또 어떻고. 

이렇듯 생활에서 매일 부딪치는 것들을 논리와 연결시켜 이야기하기 때문에 전혀 낯설지 않고 재미있다. 솔로몬의 재판이나 모순과 같은 유명한 이야기도 있어서 상식도 얻을 수 있다. 논리는 학문으로 접근하기 이전에 생활에서 숱하게 만나는 것인데 괜히 겁내는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생활에서 만나는 논리를 재미있게 이야기하고 있어서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우선 책의 내용을 정리해서 아이와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거 정리하는데 나도 공부가 꽤 된다. 이걸 아이에게 하라고 했으면 훨씬 좋을 뻔했다. 어떤 것에 대해 가지는 생각으로서 오래된 약속인 개념을 설명하면서 자연스럽게 언어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개념의 대표적인 게 바로 언어니까. 문득 <프린들 주세요>라는 책이 생각나서 그 책을 읽어보라고 했다. 오류에 대해 설명할 때는 나도 재미있었다. 가끔 내가 저지른 오류도 생각해 가면서.  



먼저 논리적으로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라고 했더니 처음엔 어려워한다. 그런데 알고 보니 내가 문제를 내다 말았다. 나중에는 아주 쉽단다. 그리고 전제와 결론을 구분해 보았다. 이게 다 책에 나오는 문제지만 읽을 때와 이렇게 따로 떼어내서 문제를 풀 때는 느낌이 다른가 보다. 내용은 쉽지만 결코 가볍게 넘길 내용은 아니다. 책이 너무 괜찮아서 큰아이에게도 읽어보라고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