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집 이야기 - 시와 그림으로 보는 백 년의 역사 Dear 그림책
존 패트릭 루이스 글, 백계문 옮김, 로베르토 인노첸티 그림 / 사계절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중매체의 위력은 대단하다. 그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든 영향력이 크다는 사실 자체는 명백하다. 모 시트콤에서 잠깐 나왔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에게 강한 인상을 준 작가 로베르토 인노첸티의 예만 봐도 그렇다. 그러나 나는 그 전부터 인노첸티의 그림에 반해서 그의 책을 모으고 있었다. 

우리에게 집이란 무엇일까. 좁은 땅덩어리에서 많은 사람이 사는 우리나라의 경우 집은 주거의 개념보다 재태크의 개념이 더 크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그런 개념에서 벗어나 순수한 기능인 주거에 초점을 맞추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요즘이다. 그렇다고 해도 예전의 집의 개념과는 조금 다르다. 평생을 살 집이 아니라 잠시 머무는 곳이라는 개념이 강하다. 아무래도 아파트의 수명이 길지 않다 보니 그러한 생각이 더 만연해 있는 듯하다. 또 한 가지는 점점 넓혀 가야 하는 대상으로 본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한 집에서 애착을 가지고 평생을 살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그다지 많지 않다. 우리의 집에 대한 이런 개념 때문에 이 책을 보며 많은 생각들이 스쳤다. 

아주 오래 전에 지어졌지만 한동안 사람이 살고 있지 않던 집이 우연히 산으로 모험을 나온 아이들에게 발견되어 다시 '집'의 기능을 하게 된 집 이야기다. 그와 동시에 한 세기에 걸쳐 일어난 다양한 사건들을 보여준다. 동일한 장소를 시대가 변함에 따라 어떻게 변했는지 고스란히 보여줌으로써 질곡 많은 현대사를 이야기한다. 묵묵하게 서 있는 집 한 채를 통해 20세기를 보여주는 셈이다. 그렇다고 이 집이 백 년'밖에' 안되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1656년에 지어져서 20세기를 보내고 있다니 족히 몇 백 년은 되었다.  

그러나 지난 시기와 이 책의 마지막인 1999년의 모습을 보면 뭔가 다르다. 지금까지는 집의 외형은 그대로 둔 채 필요에 의해 조금씩 넓히거나 보수를 하는 수준이었다면 마지막은 완전히 리모델링을 했다. 그리고 자연과 더불어 살던 모습이 아니라 자연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불과 30 여년 사이에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의 눈이 이처럼 변한 것일까. 기본 골격은 그대로지만 완전히 변해 버린 마지막 집을 보며 쓸쓸함을 느낀 이유다. 

현대사의 질곡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는 집을 통해, 사는 건 무엇일까 생각해 본다. 사실 처음에는 멋진 그림에 빠져 이처럼 조용하고 아늑한 산에서 살면 얼마나 마음이 평화로울까에 집중하며 읽었다. 식구가 늘어나자 조금씩 집을 증축하는 모습을 보며 예전 우리 부모들이 시골에 살면서 집을 수리하던 생각도 들었다. 그러나 책장을 넘길수록 그 안에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을 바라보게 된다. 정지된 그림을 통해 그들의 역동적인 삶을 만나는 신기한 경험도 한다. 그냥 산속의 집이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특정 번지로 표시되는 것을 보며 이때부터 관리 시스템이 변했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깨닫는다. 이처럼 그림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무수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계속 똑같은 집을 보여주지만 같은 이야기는 하나도 없다. 그게 바로 이 책의 매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