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진이 되라 - 운명을 바꾸는 창조의 기술
강신장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의력이란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다 언젠가부터 그게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유를 가지고 융합하거나 변형하고 비틀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란 사실을 깨달았다. 그걸 깨달은 게 불과 몇 년 전이다. 전에는 내가 창의력이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서 그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면 아예 포기했는데 그 후로는 열심히 생각해 보기라도 한다.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을 가지고 연결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도 있음을 알게 된 것이다. 이 책에서도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어찌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창조의 기술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하는 부분에서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마 누구라도 그랬을 것이다.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놀아본 사람이 창조적일 수 있다는 이야기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언젠가 어린이책 작가를 만났는데 그 작가도 이런 이야기를 했었다. 한 우물을 파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우물을 다 파고 난 다음에는 다른 것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간혹 내 관심사가 너무 넓어서 오히려 아무것도 제대로 하는 게 없는 것 아닐까 생각했는데 이 이야기를 보니 조금은 위안이 된다. 당장 드러나지 않아서 그렇지 언젠가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희망도 가져본다. 

삼성경제연구소(SERI)라면 더 이상 말이 필요없는 곳이다. 그런 곳에 있던 사람이 쓴 책이라니 이 책을 읽으면 금방 창의력이 생길 것 같다. 게다가 운명을 바꾸고 싶지 않느냐는 강한 메시지로 독자를 유혹한다. 이렇게 보면 직장인만을 염두에 둔 책이라고 생각하는 게 보통이다. 그럼 아이를 키우는 주부는 읽을 필요가 없단 얘긴가. 그걸 염두에 뒀는지 아이의 창의력을 키우고 싶은 사람도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다. 뭐, 그런 이야기를 듣고도 혹 하지 않을 부모는 없을 것이다. 여하튼 이건 특정 직업이나 특정 연령대만을 위한 책이 아니다. 끝에서 이야기하듯이 모든 연령대의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책이다. 내용을 어느 만큼 자기것으로 만드느냐가 중요할 따름이다. 

상당히 많은 부분 동의하고 공감하며 읽었다. 또 알고 있었지만 미처 꺼내지 못한 것들을 꺼내는 계기도 되었다. 그러나 몇 가지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가 우리나라와 같은 경쟁만 남아 있는 곳에서 살고 있는, 철저한 직업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 그런지 대부분의 가치를 경제적인 것에 집중한 듯 보였다. 물론 경제는 살아가는데 기본적인 부분이며 필요한 가치다. 그러나 경제가 모든 가치 위에 군림하는 듯 보였다. 경제연구소에 있던 사람이니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환경과 생태는 일체 다루지 않는다. 오로지 경쟁을 도구로 한 경제를 이야기할 뿐이다. 현대가 서산 간척사업을 하면서 폐유조선을 침몰시키면서 성공했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그 일에 대한 정확한 사실 관계를 모르기 때문에 어떻게 반론을 하진 못하겠지만 그 뉘앙스가 마치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라면 다른 것은 신경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단편적인 것을 예로 들었기 때문에 그런 것일 수도 있겠으나 이런 식의 사고가 여러 곳에서 느껴졌다. 

삼성과 같은 가장 제왕적인 그룹에서 창의적인 생각을 많이 만들어내다니 아이러니하다. 곳곳에서 삼성에 대한 저자의 애정이 느껴졌다. 그래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기업이며 그나마 세계에 내놓을 만한 기업인 삼성. 거기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지만 여기서는 그게 중요한 게 아니므로 넘어가야겠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영감을 얻고 나아가 창조적이 되려면 다른 경험을 많이 해봐야 한다고 했다.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근로시간이 너무 많다. 이것은 어느 기업을 막론하고 비슷할 것이다. 그렇다면 CEO들과 함께 하는 저자 같은 사람이 그들에게 이런 사실을 인지시켜 줘야하는 것 아닐까. 단순히 직장인들이 다른 세상을 만나러 가기 힘든 현실을 인정하는 것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그 문제를 극복할 방안도 걱정해야 하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왜? 그게 창조의 큰 밑천이니까. 저자는 그러한 현상만 던져놓고 문제제기에 대한, 자신과 같은 CEO의 의무는 간과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