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할아버지 우리나라 그림책 5
송언 글, 고광삼 그림 / 봄봄출판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차피 신화란 일정 부분 사실에 허구적 요소가 곁들여진 이야기다. 한때는 단군신화가 말도 안되는 이야기라 일정 부분 사실이 들어있으리라곤 생각도 못했지만 이야기의 특성을 알고 난 지금은 조금 이해가 된다. 이런 걸 진작 알았더라면 역사를 배울 때 생생하고 재미있게 배웠을 텐데. 그러나 지금이라도 알게 되었으니 억울해 하진 말아야지. 

다양한 단군신화 이야기가 있는데 또 다시 단군이다. 신화라고 이야기하지 않고 친근하게 단군 할아버지라고 말한다. 이야기의 처음은 여느 단군신화와 다르지 않다. 환웅이 태백산(대개 백두산이라고 하지 않나?)으로 내려가 다스리다가 곰 부족의 여인과 결혼하여 단군을 낳는다는 이야기다. 중간중간 약간 다르긴 하지만 크게 벗어나진 않는다. 다만 기존의 신화에서는 곰 부족과 호랑이 부족이라 말하지 않고 곰과 호랑이로 이야기하는데 여기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 후에는 단군이 태어나 조선이라 이름을 정하고 살아가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검은 용이 나타나면 단군 할아버지의 딸이 무찌르고 황룡이 나타나거나 머리 아홉 달린 괴물이 나타나면 태백장수가 물리친다. 뒷표지에 있는 작가의 말에 따르면 단군 할아버지가 직접 백성들의 삶을 보살피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한다. 그래도 이건 좀 아니다 싶다. 우리는 대개 용을 성스러운 동물로 여기는데 여기 나오는 용은 모두 괴물 같은 취급을 받는다. 머리 아홉 달린 괴물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땅속 나라 도둑 괴물>이 연상되기도 했다. 어차피 옛이야기는 새롭게 조합해도 누가 뭐랄 수 없으니 그건 그렇다쳐도 그림에서 걸리는 게 있었다. 단군신화는 조선, 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고조선을 말하는데 여기 나오는 그림들은 다양한 시대를 보여준다. 칠지도 비슷한 칼이 나오고 고구려의 옷이 나오는가하면 성벽은 도저히 당시의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물론 신화적 상상력은 모든 것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일정 부분 사실에 기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개의 사람들은 활자로 인쇄된 것은 적어도 사실을 이야기한다고 믿으니까.


환인 임금님이 태백산을 보며 감탄하는 모습이다. 눈이 휘둥그레졌다.


지금까지는 대개 호랑이와 곰이라고 표현했는데 여기서는 부족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러나 그림에서는 여전히 호랑이와 곰으로 표현했다. 하긴 부족을 그림으로 표현하긴 힘들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