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커 (반양장) - 제3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29
배미주 지음 / 창비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각은 거리와 상관없이 어느 정도 비슷할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옛이야기를 보더라도 나라를 막론하고 기저에 흐르는 생각은 비슷한 것도 그렇고 언어도 알게 모르게 공통분모가 존재하는 것도 그렇다. 또한 현재를 바라보고 문제의식을 갖는 방식도 비슷하다. 이 책을 읽으며 많은 사람들이 영화 <아바타>를 생각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 영화가 상영되기전까지 엄격하게 비밀을 유지했다하니 거기서 영감을 얻었을 리는 만무하다. 게다가 청소년문학상 원고 공모 시점이 그 영화가 나오기 전이니 힌트를 얻었을 리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어쩜 그리 많은 부분에서 서로 비슷한 방식을 취하는 것일까. 그러면서 드는 아쉬운 생각 한 가지. 바로 이 책이 영화 <아바타>가 나오기 전에 나왔다면 훨씬 좋았을 텐데. 

판타지나 공상과학 소설에서 그리는 미래는 비슷한 점이 꽤 많다. 우선 과학과 컴퓨팅 기술이 발달해서 모든 것을 자동으로 조절한다는 점이다. 또 환경이 파괴되어 지구는 더 이상 살기 좋은 곳이 아니다. 여기서도 주인공들이 살고 있는 곳은 완벽하게 구현된 시안이라는 공간이다. 시안은 지하에 있는 곳이지만 지상과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했다. 비록 태양이나 비는 없지만 그런 것은 기계가 알아서 보여준다. 그러나 아무나 그곳에서 살 수 있는 건 아니다. 재산이 있거나 권력이 있어야 한다. 게다가 인간 수명이 길어져 늦둥이가 많이 태어나는데 부모들은 나이가 많아 가족을 보살피거나 부양하지 못한다. 대신 돈을 내고 맡긴다. 그러니까 더 이상 인간의 '정'은 찾기 힘들다는 얘기다. 그 와중에 미마와 부과 다흡은 지금까지 느끼지 못했던 인간적인 유대감을 느낀다. 그러면서 아무리 과의 도움으로 혼자 살 능력이 되더라도 인간은 함께 이야기하고 생각을 나누며 사는 게 진정 행복하다는 사실을 이야기하는 듯하다. 

미마가 난민들이 사는 곳에 들렀다가 진짜 살아있는 물고기를 받아 오고 반려수에 싱크하는 프로그램을 알게 된 것이 사건의 발단이었다. 어떤 동물에 싱크한다는 설정은 정말 <아바타>를 연상시킨다. 바이러스를 없애기 위해 자연을 포기한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 시안. 마치 벼록 잡겠다고 초가삼간 다 태운 꼴이다. 그러나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은 그런 문제의식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 왜? 다른 것을 본 적이 없으니까. 그러나 미마와 부건은 다른 것을 이미 보았기 때문에 현재의 도시가 결코 자연스럽지도 이상적이지도 않다는 걸 깨닫는다. 그리고 결국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쓴다. 

마지막에는 무슨 전쟁영화 같아져서 약간 맥빠졌다. 그냥 아이들답게 결론을 이끌었어도 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전개가 빠르고 그 안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도 많아서 읽는 동안 정신이 없었다. 스스로 문제를 되짚어 볼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았다. 판타지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미하엘 엔데의 <끝없는 이야기>는 전개가 느리지 않은데도 그 안에서 주인공의 성장이 고스란히 느껴졌는데 여기서는 그런 여운과 깊이를 느끼기는 좀 힘들었다. 하긴 판타지는 독자가 상상할 수 있도록 많은 설명이 필요하므로 이 한 권에 그 많은 내용을 다 담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우리 청소년 문학에서 판타지가 아주 드문데 지난 번 약간의 판타지가 가미된 <위저드 베이커리>에 이어 이번에 진짜 판타지 작품을 만날 수 있어 좋았다.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으니 앞으로 더 근사한 판타지 작품을 만나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