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새의 비밀 - 삶의 순환과 죽음에 대한 안내
얀 손힐 지음, 이순미 옮김, 정갑수 감수 / 다른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삶의 순환과 죽음에 대한 안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표지에는 죽은 새(알고 봤더니 벌새란다.)가 있어 순환보다는 죽음에 눈길이 간다. 제목도 그렇고. 그렇다. 이 책은 죽음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책이다. 그런데 죽음을 이야기하려면 삶에 대한 것부터 차근차근 접근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삶을 이야기하고 죽음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죽음이 끝이냐면 그렇지 않다. 환생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순환한다는 뜻이다. 즉 부제가 책 내용과 의도에 딱 들어맞는다. 



지구상에 있는 생명체는 수명이 저마다 다르다. 심지어 같은 종이라도 똑같지 않다. 볼락이라는 물고기가 250년이나 살았고 강털소나무인 므두셀라는 약 4800년이나 살았단다.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시간을 버티고 있었을 나무를 생각하니 경이롭다. 그런데 매미에 대한 설명에서 애벌레로 17년이나 있다고 하는데 이건 일부가 그런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니까 심지어 17년까지 애벌레로 있다는 얘기지 모든 매미가 그렇다는 얘기는 아니다. 헌데 여기서는 다른 설명 없이 17년만 언급해서 마치 모든 매미가 그런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 열심히 머릿속에 새로운 사실을 입력하며 읽다가 이 부분에서 걸렸다. 그럼 내가 몰라서 그렇지 또 오해할 만한 글이 있지 않을까하고. 



책의 처음에 죽음을 생각하면 편치 않지만 사실은 우리가 먹는 음식도 모두 죽음과 관련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다른 생명체를 먹어야한다. 그런데 요즘은 살기 위해 먹어야하는 단계를 넘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여기 있는 먹이 사슬을 보면 그 관계가 명확해진다. 바다에서의 먹이 사슬은 사진의 크기로 표현했다.



다양한 죽음을 이야기하는데 종의 죽음, 즉 멸종이 눈에 들어온다. 이미 많은 생물이 사라졌고 지금도 사라지고 있다지. 죽은 후에는 어떻게 될까. 그야 당연히 분해가 된다. 그런데 간혹 분해되지 않고 이처럼 화석으로 남는 경우가 있다. 그걸 여기서는 '시간에 갇힌다'고 표현했다. 그러고 보니 이 책은 제목을 참 잘 붙였다. 사진 오른쪽 위는 탄화된 사람 얼굴이란다. 보존이 너무 잘 되어 있어서 1950년대에 발견한 사람이 살인당한 줄 알고 경찰을 불렀다고 한다. 정말 주름까지 그대로 드러난다. 

작가는 창고로 들어왔다가 나가지 못하고 죽은 벌새를 보고 이런저런 생각이 들어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정지비행을 하고 뒤로도 나는 유일한 새라며 그저 신기하다고만 생각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단다. 미처 그 생각을 못했다. 그렇다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얼마나 먹어야할까. 즉 먹지 못한다면 바로 죽음과 연결된다는 얘기다. 이처럼 자연은 겉으로 드러나는 것만 봐서는 절대 안되는데 그걸 또 간과했다. 여하튼 때로는 두루뭉실 넘어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지만 간단간단한 상식으로 알고 있을 만한 내용이 많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