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 푸른도서관 36
이금이 지음, 이누리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곧 수학여행을 떠나는 딸이 집에 와서 툴툴 거린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들떠서 신났던 터다. 그 이유인즉 학년 주임이 방 배정을 번호순으로 하라고 했다는 거다. 그러니까 그동안 친한 친구들끼리 방을 쓰기 위해 열심히 머리 굴렸는데 모든 것이 허사가 되었던 것이다. 게다가 친하지 않은 친구들도 있어서 어쩌고 저쩌고 한창 떠든다. 그 이야기를 듣는 순간 이 책이 생각났다. 하긴 읽으면서도 어쩜 지금 여기 있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들어있을까 싶어 감탄했었다. 아마도 작가가 딸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었기 때문에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게다.  

딸 아이가 공감할 만한 이야기가 많아서 책을 건넸더니 표지를 보고 이게 뭐냔다. 이금이 작가의 딸이 그린 것이라고 했더니, 그게 아니라 이런 표지면 학교에 가지고 갈 수가 없단다. 그럼 북커버 씌우면 되지 않겠냐고 했더니 그래도 애들이 벗겨본단다. 그러면서 남자 애들이 봐서 안 된다나. 그래, 책을 읽기 전엔 나도 이게 도대체 무슨 그림일까 의아하긴 했다. 그런데 읽고 난 지금은 이 그림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겠다. 또 그 안에 상당히 많은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도 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책인데 처음엔 주인공이 마치 담임 선생님 같았다. 화자가 바로 담임이니까. 좀 독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이 선생님이 자신의 청소년 시절을 회상하는 이야기일까. 게다가 시작하자마자 봄이라는 아이가 무단결석을 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걸로 보아 그와 관련된 이 선생님의 얘기일 거라는 추측을 했으나 보기 좋게 빗나갔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어디까지나 청소년인 봄이다. 그러나 봄이가 자신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부분은 아주 일부일 뿐이다. 나머지는 여러 사람이 각자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 이야기를 하거나 봄이 이야기를 한다. 그렇게 각자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조금씩 사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그 과정도 결코 호락호락하지 않다. 소설로 구성되어 있는데다 담임 선생님까지 끼어들어 혼란스러워하니 독자는 더욱 갈피를 못 잡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연결되는 진실고리가 드디어 하나로 완전히 합쳐졌을 때 답답함이 풀어졌지만 한편으론 더욱 답답해진다. 바로 봄이가 처한 현실, 결국 우리가 처한 현실이 그다지 떳떳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너무 순진한 봄이는 자신의 이야기를 좋아해서 들어준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각자 다른 목적을 가지고 들었던 것이다. 대리만족이든 시간 때우기든 가장 큰 원인은 '너처럼 뚱뚱한 애가 어떻게?'라는 생각이 모든 아이들 마음 속에 있었기 때문이 아닐런지(책을 읽는 도중에 나도 그런 생각을 했던 게 사실이다. 이성적으로는 외모보다 그 사람의 인격에 끌리는 것이라고 하지만 한쪽 구석에서는 '그래도'라는 생각이 끊임없이 피어올랐다). 그리고 그것은 선생님도 한때 가졌던 생각이다.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이야기한 적은 없지만 같은 사고방식을 갖고 있었다. 20년이 넘는 시간차가 무색할만큼 변한 것이 없었다는데 시선이 자꾸 머문다. 이게 바로 요즘 사람들 사고방식의 문제가 아닐까. 외모지상주의. 그래서 표지를 뚱뚱한 비너스로 그린 것이리라. 이렇게 뚱뚱해도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고, 충분히 귀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앞으로 봄이는 어떻게 될까. 그나마 봄이는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을 알고 있었기에 상처를 덜 받을 수 있었다. 안그랬다면 혼자만 전전긍긍하고 더불어 독자도 안타까워했을 테니까. 그보다도 담임의 대응방식이 더 궁금하다. 아이들이 똘똘 뭉쳐 진실을 은폐하려 했고 자신은 그저 방관자에 머물렀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얼마나 낙담했을까 싶기도 했다. 

작가는 그토록 많은 책을 냈는데도 여전히 아이디어가 고갈되지 않나 보다. 너무 쉽게 글을 쓰는 것 같아 샘나기도 하지만(내가 샘 낼 필요가 없는데) 글을 참 잘 쓴다는 사실에는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다양한 형식의 글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쓰는 걸 보면 정말 타고난 '꾼'인가 보다. 내용에 관해 할 이야기가 많은 책인데도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방식의 신선함과 작가의 능력에 감탄만 하고 있다. 확실히 우리 어린이청소년문학의 한 축을 이루는 작가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