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남자친구 이야기 사계절 1318 문고 16
크리스티앙 그르니에 지음, 김주열 옮김 / 사계절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점을 줄 때 간혹 곤혹스러운 경우가 있다. 내 마음에는 안 들었지만 그게 전적으로 옳다고 할 수 없으며 실제로 다른 사람은 좋게 평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별 갯수가 너무 많아 보인다. 다섯 개 중 세 개를 주는 것보다 네 개중 세 개를 주는 게 덜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그런데 간혹 별 다섯 개가 모자란다는 생각이 드는 책을 만나기도 한다. 바로 이런 책처럼. 

오래 전부터 제목을 들어왔기에 너무 익숙한 책인데 이번에 개정판으로 나왔다(솔직히 전에는 표지만 바꿔서 내는 개정판을 마뜩잖아했는데 이 책을 보고 그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이런 개정판은 얼마든지, 아니 꼭 나와야 한다고). 그래서 마치 이제 막 나온 책을 읽는 기분으로 읽었다. 읽고 나서의 느낌은? 지금까지 읽지 않고 있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고, 만약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어쩔 뻔했나 싶을 정도였다. 그래서 이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반드시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클래식에 문외한인 잔이 우연히, 정말 우연히 피아노 독주회에 갔다가 클래식의 세계에 빠지는 이야기만 있다면, 이처럼 재미있지 않을 것이다. 거기에 더해 아빠에 대한 그리움이 있고 가족의 사랑과 신뢰, 그리고 남자 친구와의 풋풋한 사랑이 있다. 그렇다고 남자 친구와의 사랑이 우리가 생각하듯 한창 이성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들의 사랑과는 또 다르다. 아마도 남자 친구가 알고 보니 굉장한 재능을 가진 피아니스트였다는 설정 때문에 그런지도 모르겠으나 그 보다는 잔이 기억 속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아빠의 자취를 따라가는데 피에르가 상당한 도움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아빠가 사진 한 장 남기지 않아 그리워하던 잔에게 그보다 더 소중한 소리를 남겼다는 사실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름답다. 또, 그동안 잔의 가족에게 아빠에 대한 추억은 묻어두어야만 하는 고통이었지만 피에르의 도움으로 이제 드러내놓고 그리워해도 되는 소중한 존재가 되었다. 이게 모두 피에르가 없었다면 불가능했던 일들이다. 

이 책은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두 사람이 각자 자기의 입장에서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이 잔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서술하는 책이라면 다른 책인 <내 여자친구 이야기>는 피에르가 잔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하나의 사건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아니 서로 다른 시각으로 보여지고 생각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러나 거기에 크게 얽매이지는 않게 된다. 잔의 이야기를 읽을 때는 사실 남자 친구 이야기보다 잔의 가족사에 더 눈길이 갔다. 저자가 애초부터 밝혔듯이 클래식 음악과 관련된 인물 중 일부는 가상의 인물이지만 나머지는 실존인물이다. 즉 저자가 클래식 음악에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저자는 잔과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한다. 그런 여타의 주변 이야기는 중요하지 않다. 그 보다는 두 청소년의 진솔하면서도 열정적인 삶이 더 다가왔다. 이제부터 청소년이나 책을 좋아할만한 사람에게 줄 선물은 무조건 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