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사라져 가는 세계 부족문화
크리스티안 라바퀘리-클랭, 로렌스 페루스테르홀츠 지음, 박상은 옮김 / 한림출판사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이상하게 다른 나라의 오래된 풍습은 (비록 현대와 너무 안 어울리고 현대의 기준으로 보면 불편하고 힘겹다 하더라도) 지켜져야 할 것만 같다. 그러나 우리의 것은 현대적으로 발전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곤 한다. 그러다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전통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깨달았다. 하지만 거기에 약간의 이기적인 마음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전통 가옥의 경우 아름답고 편안하며 마땅히 그런 집이 많이 있어야 한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막상 내가 그런 집에 살고 있더라도 그런 생각을 할까 싶다. 겨울이면 외풍 때문에 입김이 나고 마룻바닥이 차가워서 발을 대기도 힘든 그런 집에서 살라면? 아마도 그래서 지금처럼 민속마을을 지정해 놓지만 힘들기 때문에 사람들이 점점 떠나는 것일 게다. 게다가 현대적인 건물에서 살던 사람은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남아날 전통이 하나도 없겠다. 내가 너무 염세적으로 생각을 했나 보다. 그러나 우리 고유의 삶의 방식이 점차 사라지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다.  

어쨌든 이 책은 아메리카의 여러 부족을 소개하며 그들의 삶을 간단하게 이야기해 준다. 그러면서 그들의 유산을 설명해 주는데 유렵의 유산들처럼 거창한 멋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은은한 자연을 느낄 수 있다. 물건을 담는 광주리조차 그냥 물건을 담는 의미만 있는 게 아니라 예술이 들어 있고 그들의 삶의 방식이 들어 있다. 잉카 족은 매듭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단다. 그러니까 매듭으로 이야기나 노래, 신화를 전달한단다. 물론 그것을 해석하는 사람은 보통 사람이 아니라 특별한 사람이었겠지. 그런데 사진을 잘 살펴보면 가끔 그것이 보관되어 있는 장소가 다른 나라임을 알 수 있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할까. 여러 가능성이 있겠지만 아마도 우리의 많은 문화재가 다른 나라에 있는 것과 비슷한 이유 아닐까.  

'사라져 가는 세계 부족문화'라는 일부 제목을 보고 당연히 아프리카일거라고 생각했다. 글자는 아메리카라고 읽으면서도 말이다. 워낙 부족하면 아프리카가 자동으로 연상되기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아프리카 못지 않게 다양한 부족이 있고 고유한 풍습이 있는 아메리카의 여러 부족을 돌아보며 우리가 너무 획일적인 현대 문명만 접하고 살았던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우리에게도 분명 남들이 경탄하는 전통문화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을 구시대의 풍습으로 치부할 게 아니라 전통으로서 보존해야 할 필요와 의무가 있지 않을까. 나는 그렇게 할 자신이 없으면서 누군가가 나서서 해주길 바라고 있다. 혹 나처럼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은 건 아닐까 내심 기대도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