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글은 우리 얼굴이야 - 우리 말글 지킴이 이수열 우리 인물 이야기 18
임어진 지음, 이정규 그림 / 우리교육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임 회보를 만들면서 가장 답답했던 부분이 어떻게 해야 제대로 된 우리말을 쓰는 것일까 하는 문제였다. 어떤 한 문장이 의미파악은 그런대로 가능한데 어딘가 조금 어색하다고 느껴질 때 무엇이 문제인지 정확히 잡아내지 못해서 한참을 헤매곤 했다. 그러면서 우리말과 글에 더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서 모두들 한동안 간단한 글을 쓸 때조차 문법과 띄어쓰기에 엄청 신경쓰는데 일종의 후유증이라며 웃었던 기억이 난다. 

이수열이라는 인물은 내게 생소하다. 그러나 알고 나니 지금 같은 시기에 꼭 필요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심지어 우리가 제대로 된 글이라고 하는 신문 기사조차 잘못 쓴 게 이렇게 많다니 놀랍다. 또한 지금 이 글을 쓰는 것조차 상당히 부담된다. 하물며 글 쓰는 게 직업인 사람들도 이런데 나는 얼마나 잘못된 문장을 많이 쓸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오죽하면 모임에서 교정을 봤다고 하는 글을 들고 직접 찾아가서 배우고 싶은 심정이다. 아마도 빨간색 글씨로 도배가 되겠지. 

어려운 시절에 태어나 힘들게 공부해서 주로 교직에 있다가 은퇴한 후의 활동 때문에 이렇게 관심을 받지 않았나 싶다. 그냥 교사를 하고 그만두었다면 평범한 한 명의 선생님이었을 게다. 그러나 교직에 있을 때부터 교과서의 글들이 지나치게 현학적이고 잘못된 문법이 많다는 걸 절감하고 있었기에 은퇴한 후 끈질기게 신문의 글을 바로잡아 보냈단다. 그렇게 계속 하다 보니 사람들이 하나 둘씩 그의 말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점차 알려지게 된 것이다. 내로라 하는 사람들의 기고문을 꼼꼼하게 교정해서 다시 돌려보내니 시간이 얼마나 들었을까. 그러나 그의 이런 행동을 반기는 사람도 있지만 배척하는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 이런 저런 것을 떠나서 기회가 되면 정말 제대로 된 우리말을 쓰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것에 대해 듣고 싶다. 올 가을에 만들 회보를 위해서라도. 

책을 읽고 아이와 간단한 활동지를 해 보았다. 



책을 찾아가며 낱말퍼즐을 풀고...

 

 
우리글이 없으면 어떨까에 대한 생각도 해 보았다. 그리고 자주 쓰는 말이지만 잘못된 말도 알아보았다. 아이는 '단출하다'의 뜻을 모르겠단다. 하긴 의외로 자주 스는 말이 아니니 그럴 수 밖에. 난 이 단어를 쓸 때의 느낌이 참 좋던데.



말은 있지만 문자가 없는 찌아찌아족에게 한글을 빌려줘서 지금은 한글을 배우고 있으니 그 친구들에게 편지를 써 보라고 했더니 달랑 한 줄 썼다. 이게 뭐냐고 했더니 할 말이 없다나. 아무래도 지금까지 너무 무심했나 보다. 이제 글 쓰는 것 좀 가르쳐야지. 글은 단순히 '글자'를 쓰는 게 아니라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습이 필요하다. 그래야 우리말에 대해 더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