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거짓말 창비청소년문학 22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려령이라는 이름은 몰라도 완득이는 알 정도로 2008년 한 해 돌풍을 일으켰던 작가가 펴낸 두 번째 청소년 소설이라는 타이틀만으로도 읽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원래는 어린이 책 먼저 냈는데 지금은 어째 청소년 책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다. 여하튼 '김려령'이라는 이름보다 '완득이의 작가'로 더 잘 알려진 그녀의 책을 만났다. 그리고 다 읽고 나서 여러가지 감정이 교차하며 가슴이 답답했다. 특히 작가의 말을 읽으며 더 답답했다. 아니, 작가는 평범한 삶을 살지 않는 사람이 하는 거라는 누군가의 말이 문득 떠올랐다. 이 작가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기에 작가의 아픔이 결코 작지 않았다는 심증을 굳힌다. 

이런 책을 읽으면 중학생들이 모두 고위험군처럼 여겨진다(그러나 다행인 것은 일부에서만 그렇다는 점이다). 어디선가 지독하게 왕따를 선동하는 아이가 있고, 누군가는 거기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고 천지처럼 그런 결정을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니 오싹하다. 그런 순간 만큼은 완전히 책 속에 몰입해서 현실로 착각하곤 한다. 그래서 가슴이 조마조마하기도 했다가 열이 올라 얼굴이 벌게지기도 한다. 특히 요 또래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더할 것이다. 

이야기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과거와 현재를 왔다갔다 한다. 또한 화자도 왔다갔다 한다. 그래서 가끔은 정신 없고 가끔은 헷갈리지만 나중에 퍼즐이 맞춰지는 것처럼 하나씩 연결고리가 이어질 때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 만약 행복한 이야기를 이런 식으로 구성했다면 쾌감을 느낀다고 할 법한데 여기서는 주제가 주제이니만큼 아픔이 더 크다. 심지어는 작가가 원망스럽기까지 하다. 하필이면 왜 이렇게 아픈 주제를 선택해서 마음껏 감동하지도 못하게 하느냐 말이다. 

화연이의 교묘한 거짓말-눈 하나 깜짝하지도 않고 상대를 곯리는 모습. 여기서는 이것을 우아한 거짓말이라고 표현했다-을 보며 참 무서운 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천지는 왜 그런 화연이에게 자신의 모습을 한 번도 보이지 않았을까. 식구들에게 하는 모습을 보면 충분히 그럴 만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은데 말이다. 그러나 정말이지 아이들 사회에서 친구끼리의 묘한 신경전은 어른이 충고하기 힘든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다. 남의 경우라면 이러쿵 저러쿵 조언해주기 쉽지만 막상 자신과 관련된 일이 되면 선택의 폭이 그다지 넓지 않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경험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다. 

그런데 화연이 천지에게 하는 행동도 무섭지만 천지 엄마도 결코 보통 사람은 아니다. 모든 것을 우연인 것처럼 아무런 내색을 하지 않지만 알고 보면 화연이네 동네로 이사간 것도, 화연이 엄마네 가게에 자꾸 가는 것도 계획적인 것이었다. 처음엔 아무것도 모르고 딸을 죽음으로 몰고 간 가족들하지만 무너지는 모습을 보며 화연마저 죽을까봐 뒤를 쫓는 모습이. 말로는 '천지 때문에' 죽었다는 말을 듣고 싶지 않아서라고 하지만 그것은 아마도 화연을 용서했기 때문은 아닐런지. 

김려령 특유의 톡톡 튀는 말투와, 앞뒤로 왔다갔다 하지만 그 안에 규칙이 있어 한 순간에 '갑자기' 이해가 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자살한 딸의 엄마를 우울하게 그리지 않는 것이 큰 특징이다. 엄마의 대사를 따라가다 보면 자식을 잃은 엄마가 맞나 싶을 정도로 씩씩하다. 그러나 가만히 살펴보면 마음에 얼마나 큰 상처가 자리잡고 있는지 느낄 수 있다. 그런데 한편으론 천지가 털실뭉치를 다섯 개 만들고 그 안에 편지를 써서 고마운 사람과 미운 사람에게 줬다는 방식이 너무 낭만적이라 괜한 걱정이 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개인의 특성에 따라 받아들이는 것이 모두 다르므로)에게는 그것이 하나의 방법을 알려주는 것일 수도 있으니까. 기우 같지만 실제로 일어나지 말란 법도 없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게 바로 그냥 문학을 바라보는 사람과 자식을 키우는 부모로서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아닐런지 모르겠다.

을 만나는 것을 보며 안타까웠는데 모든 것을 알고 있으면서 시치미 떼는 모습을 보니 무섭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한편으론 천지 엄마가 딸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고 딸을 위해 아무것도 한 게 없는 것 같아 답답했는데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니 다행이란 생각도 들었다. 그래도 엄마의 역할을 제대로 했구나하고 말이다. 그리고 누구보다 만지의 깊은 속에 가슴 찡했다. 비록 화연이 가해자이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