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소리 우리 음악 - 김명곤 아저씨가 들려주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세종도서) 상수리 호기심 도서관 9
김명곤 지음, 이인숙 그림 / 상수리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전에는 지루하고 고루하게만 느껴졌던 우리 것들이 점점 좋아지고 관심이 간다. 나이를 먹어간다는 뜻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것에 점점 끌린다. 그렇다고 우리 것을 많이 아느냐면 꼭 그렇지는 않다. 특히 그 중에서도 음악 분야는 도통 모르겠다. 국악에 관련된 것도 그렇고 판소리나 민요도 잘 모른다. 그나마 간혹 우연한 기회에 듣는 나발이나 태평소, 해금 소리가 좋다고 느낄 뿐이다. 그래서 마음 먹고 우리 음악과 악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책을 보았지만 돌아서면 여전히 헷갈린다. 기계적으로 외우려고 해서 그런가 보다. 그리고 소리를 모르는 상태에서 악기 모양만 보고 이름을 외우려니 그럴 수밖에. 

그런데 이 책에는 음악 CD가 들어있다. 악기 소리 하나하나를 들려주는 것은 아니지만 처음에 CD를 보는 순간 이거다 싶었다. 외국의 관현악에 쓰이는 악기는 대충 알면서 우리의 대취타에 쓰이는 악기는 전혀 모르다니. 어쨌든 이 책은 우리의 음악을 시대별로 이야기해준다. 대개 악기 중심의 책을 보았던 것에 비해 독특한 구성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악기나 인물에 대한 것은 내용에서 잘 이야기해 주고 있어서 우리 음악의 발전과정이 그려지는 듯하다. 여러 가지 상식도 알 수 있고.  

서양의 것을 만나기가 훨씬 쉬운 요즘 아이들이 우리 소리를 접하기는 정말 쉽지 않다. 그나마 요즘은 국악원이 생겨서 다양한 공연을 한다지만 직접 찾아가야 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그런 때 의식적으로라도 이런 책을 읽고 음악을 들어서 생소함은 벗어나야 하지 않을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기획의도를 높이 평가하고 싶다. 

예전에 북을 만든 적이 있다. 아주 작은 크기의 북이지만 진짜 가죽을 이용한 북이다. 그래서인지 확실히 소리가 맑다. 게다가 재료를 준비해 주신 분이 북 만드는 장인이었다. 북은 '만든다'고 하지 않고 '메운다'고 한단다.



우선 북을 팽팽하게 잡아당기기 위해 끈으로 연결해서 잡아당긴다. 이게 완전히 마르지 않은 가죽이라 냄새가 좀 심하다. 또한 이 작업은 아이가 하기에는 역부족이라 어른의 도움이 필요하다. 저렇게 빙 돌아가며 끈을 끼운 다음 조금씩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많이, 고르게 잡아당겨야 소리가 맑고 경쾌하단다. 사진에는 없지만 그런 다음 못으로 박고 나머지 가죽을 잘라낸다.  


장구는 기본 틀이 있고 거기에 동그란 판을 붙이는 것이다. 연호에게는 이것도 장난감이다.


판을 대고 줄을 끼우면 장구는 완성된다. 줄 사이에 있는 가죽의 위치를 옮기면 소리가 달라진다. 아이들은 알고 있던데 난 처음 알았다.


그 장구와 북이 바로 이것들이다. 북테두리에 박은 못(모양이 독특한 예쁜 못이다.)을 어찌나 촘촘하게 박았던지 나중에는 모자랐단다. 과연 처음 북 메울 때의 모습에서 이런 모습이 연상될까?


내가 가장 마음에 들었던 CD. 사실 나도 익숙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외면하고 모른 체하면 안 될 것이다. 요즘 가장 걱정되는 것이 바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전통이 이 시대에서 끊기는 건 아닌가 하는 점이다. 그러지 않게 하려면 우리가 적극적으로 아이들에게 읽히고 들려주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