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연금술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센터 문학총서 2
호르헤 부카이 지음, 김수진 옮김 / 살림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주황색 띠지가 참 예쁘다. 버리기 정말 아까웠다. 책 크기도 아담해서 간단하게 들고 다니며 읽기에도 좋다. 원래 난 겉표지를 씌운 상태로 읽고 그대로 보관하기 때문에 그 안이 어떤 모양인지 모른다. 그런데 이 책은 우연히 안쪽을 보았는데 너무 예쁘다. 마치 무슨 다이어리 같다. 책 등에만 제목이 있고 앞면에는 제목도 없어서 더욱 더. 

잔잔한 이야기 속에 커다란 울림이 있는 이야기도 있고 뜨끔할 법한 이야기도 있다. 그리고 때로는 무릎을 치게 만드는 이야기도 있으며 가끔, 아주 가끔은 유머러스한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 뭔가 생각하게 만드는 것들이다. 인생을 생각해 보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도 생각해 본다. 때로는 권력의 부당함에 화를 내기도 하고 현자의 이야기를 읽으며 깨닫기도 한다.  

무엇보다 기억에 남는 것은 '찾는 자'가 만난 곳에서 '삶'의 시간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그래, 진짜 삶은 행복한 순간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 그러나 행복한 순간은 그다지 길지 않다. 처음엔 행복했던 것도 어느 정도 지속되면 당연한 것이 되어 버리니까. 그래서 행복이 더욱 귀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또 삶의 원동력이 되는지도 모르겠고. 

예전에는 안 그랬는데 지혜를 알려주는 듯한 이런 이야기에서 점점 멀어진다. 어찌보면 대단한 진리가 있는 것도 아닌 이런 이야기를 굳이 읽어야 할까라는 생각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위험하며 오만한 것이다. 역시 읽으면 느끼는 것이 있다. 이래서 사람은 끊임없이 배워야 하고 책을 계속 읽어야 하는 것인가 보다. 

외국 문학이라고 하면 대개가 영미권과 일본권이다. 그런 현상은 결국 그 외의 나라에 대해서는 관심도 없고 낯설게 만든다. 그래서 독자들에게 다양한 문학의 맛을 느끼게 해주고자 이런 아르헨티나의 책을 펴내게 되었다고 한다. 솔직히 지금도 영미권의 이름이 나오면 그런대로 헷갈리지 않으며 읽는데 자주 접하지 못한 나라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는 지명도 낯설고 이름도 헷갈려서 자꾸 앞부분을 본게 된다. 그렇기에 책의 내용보다 의도에 더 눈이 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