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다윈 - 탄생과 멸종, 생명의 비밀을 밝힌
루스 애슈비 지음, 김민영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진화론을 이야기하면서 빠질 수 없는 인물인 다윈. 그러나 정작 다윈에 대해 아는 바는 그다지 많지 않다. 책이 그렇게 많이 나와있는데도 말이다. 그나마 올해 다윈 탄생 200주년이라고 해서 전시회를 하는데 거기 다녀온 덕분에 조금 알게 되었다. 다윈에 관한 것만 따로 알기 보다 다른 사건이나 인물과 연결시켜 에피소드로 알고 있는 게 전부였던 차에 이렇게 다윈의 일생을 만날 수 있다니.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것이 운명은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다. 다윈에게 비글호를 탄 일이 바로 그런 경우가 아닐까 싶다. 어느 하나에 특별히 관심을 보이지도 않고, 재능도 있는 것 같지도 않아 아버지에게 인정을 못 받고 있던 다윈에게 비글호는 인생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렇다고 다윈이 아무 준비도 없는 상태에서 비글호를 탔으며 거기서 우연히 <종의 기원>이 나온 것은 절대 아니다. 그 전부터 생물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워낙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일을 하지 않아도 되었다는 점도 다윈에게는 좋은 여건이었겠지. 

도시의 연약한 청년이 5년간 비글호를 타고 난 뒤 건장한 청년으로 탈바꿈한 모습이 눈앞에 선하다. 항해 도중 누나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항해의 고통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도 알 수 있다. 또한 항해를 하다가 정박하는 곳에서 보여주는 다윈의 행동을 통해서 그가 얼마나 호기심이 많은지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억에 남는 것 중 하나는 그가 노예제에 반대했다는 점이다. 그것은 아마도 다윈이 생명체를 다루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사람에게도 그런 마음이 적용되었던 것은 아닌가 싶다. 

지금도 일각에서는 다윈의 진화론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의 결과물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다윈을 인용하거나 그의 책 제목을 인용한 저작물도 꽤 있다. 이것은 그만큼 그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게다. 초등학생이 근대 생물학의 한 획을 그은 다윈의 삶을 살펴보기에 적당한 길이와 내용의 책이다. 제대로 알고 있는 것과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것을 짜깁기해서 알고 있는 것은 확실히 차이가 있다. 그러니 말로만 '다윈'과 '종의 기원'을 듣고 알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직접 읽어볼 것을 권한다.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책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