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몽의 관람차 살림 펀픽션 2
기노시타 한타 지음, 김소영 옮김 / 살림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한때는 추리소설을 엄청 좋아했었다. 지금은 많이 읽지 않기 때문에 어떻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여전히 좋아하는 편이다. 추리소설의 묘미는 도무지 윤곽이 드러나지 않는 사건을 보며 범인이 누구일까 추측하는 재미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 책은 초반에 범인이 드러난다. 그렇다면 추리소설의 재미가 반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천만의 말씀. 그 뒤로도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얼마든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는 범인이 누구인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왜 그랬는가가 더 중요한 것이다.  

어디선가 이 책을 소개하며 유머가 있다는 글귀를 읽은 기억이 있다. 추리소설에 웬 유머. 그런데 있다. 숨가쁘게 돌아가는 사건 현장에서 무슨 유머가 있을까 싶지만 웃지 않을 수 없다. 인물들의 대화가 똑똑 끊어지는 듯하고 서로 같은 선에서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한 단계씩 앞으로 먼저 간다는 느낌이 들지만 그 안에 유머가 있다. 백치 미인인 아사코의 딸이 하는 말은 얼마나 웃기던지. 아니, 웃긴다기 보다 한편으론 무섭다. 그렇지만 남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마음을 그대로 드러내는 말이다. 그야말로 인간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표현한다고나 할까. 

처음부터 어수룩한 모습으로 나오는 다이지로를 그다지 의식하지 않았다. 가도타 준조직원이라고해도 그냥 지나가는 인물의 한 사람일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그가 중요한 인물이다. 폭력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고 오히려 수줍음이 많고 마음이 여린 것처럼 느껴지기에 그의 모습을 상상하기 힘들었다. 그런데 그가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과거의 이야기를 읽으니 쉽게 그려진다. 아주 착하고 영리했던 아이였는데 어쩌다 사고로 그렇게 되다니. 왜 내가 안타까워하는지 모르겠다. 특히 마지막에 이 세상에 아무런 미련이 없다는 듯이 폭탄 버튼을 누르는 모습은, 아무런 방어하지 않고 있다가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다. 주인공이라고 생각해서 어떻게든 살 줄 알았던 것이다. '잘 살았습니다'는 아니더라도 그냥 '살게 되었습니다'라고 할 줄 알았다. 

처음에는 따로 따로 등장하는 인물들을 보며 우연히 관람차를 타게 된 사람들을 묘사한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우연은 아무 것도 없었다.(딱 한 가지만 빼고.) 모두 치밀하게 계획된 것이었다. 특히 멍한 역으로 나오는 아사코. 처음부터 아이들에게 하는 행동이 참 특이하다 싶긴 했다. 그런데 그녀가 자체로 엄청한 무기가 될 줄 누가 알았나. 평상시엔 가족밖에 모르는 주부지만 어느 순간이 되면 살인청부업자로 변신가능하다니. 무서우면서도 한편으론 묘하게 끌린다. 또한 긴지도 일반적인 시각으로 보자면 소매치기지만 이 소설 속에서 보자면 훌륭한 재주꾼이다. 오죽하면 그의 실력을 보고 감탄사가 나올까.(이래서 청소년들에게 이런 이야기는 보여주기가 겁난다.) 문학적인 평가는 어떤지 모르겠으나(이쪽은 전혀 모르기 때문에. 하지만 문외한인 내가 보기에도 베스트셀러 작가일 수는 있겠지만 그 이상은 아닐 것 같다.) 재미있게 읽었다. 무엇보다 추리소설에서 유머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신선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