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난다면 살아난다
최은영 지음, 최정인 그림 / 우리교육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을 다룬 어린이 책은 주로 남겨진 사람들의 아픔을 그린다. 상실의 고통을 나누고 그것을 극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이 책은 죽음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 대개 주인공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에 주인공이 누군가의 죽음을 감내하는 과정을 그리는데 반해 이 책은 딱히 누가 주인공이라고 꼬집어 말하기 힘들 정도로 여럿의 무게가 비슷하다. 그래도 굳이 주인공을 뽑으라고 한다면 근호와 동우라고 할 수 있다. 곧 죽음을 맞는 근호가 자신을 희생하고 다른 사람들을 변화시킨다. 주인공에 해당하는 인물이 죽음을 맞는다는 설정 자체가 기존의 동화와 다른 점이다. 

한 명은 가슴에 원망을 품고 삶에 별 의미를 두지 않았던 인물이고 또 다른 한 명은 너무 살고 싶지만 희망이 없어 보이는 인물이다. 그런 둘이 우연히 한 병원에 있게 되면서 동생 동우와 이상한 할머니를 매개로 둘을 둘러싼 가족이 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도 약간 특이한 소재를 사용해서. 바로 혼과 이야기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산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도록 해주는 할머니를 등장시킨 것이다. 여기서 잠깐 영화 '사랑과 영혼'가 생각났다. 혼이 되어 돌아다니는 근호가 엄마 아빠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자신의 뜻을 알리기 위해 혹시 그 영화에서처럼 어떤 방법이 사용되지 않을까 우려했는데 다행히 다른 방법을 썼다. 

근호네 가족은 함께 살지만 진정한 가족이라 할 수 없다. 언제나 못마땅하게 근호와 근호 엄마를 바라보는 할머니, 가정보다는 일이 우선이고 문제를 맞서 해결하기 보다는 회피하는 아빠, 오로지 공부만 강요하는 엄마, 거기다 자신의 생각은 한 마디도 하지 못하고 기계처럼 공부만 하는 근호. 어쩜 이렇게 문제 종합선물세트 같은 구성원만 모아 놓았을까. 하긴 이 모든 것이 원인은 하나다. 서로 진정한 대화를 하지 않았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깨닫게 된 계기가 바로 근호의 죽음이었다. 근호를 생각하면 얻는 것에 비해 잃은 것이 너무 큰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잠깐 물러나 생각하면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근호 가족이 화목하게 되었음은 물론이요, 형우가 새 심장을 받았고 다른 여러 사람이 장기를 받았으며 동우의 가족에게 희망을 주었다. 

살아 있을 때 열심히 살아야 하고 가능할 때 많이 표현해야 한다는 것을 아이들이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기존의 죽음을 다룬 동화와는 확실히 다른 맛을 느꼈다. 다만 왜 결말에 가서는 모두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화목하게 잘 살았다고 이야기하는지 모르겠다. 열린 결말이 당장은 답답하고 먹먹할지라도 오히려 현실성이 있어 보이는데 말이다. 혼이 되어 떠돌아다닌다는 설정의 허구성보다 근호의 온 가족이 너무 착하게 변한 것이 더 허구 같아 보이는 이유는 뭘까. 이렇게 약간의 불평을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수시로 훌쩍였고 괜찮은 책을 만났다는 뿌듯함은 여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