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발 내 말 좀 들어 주세요 - 어느 날 갑자기 가십의 주인공이 돼 버린 한 소녀의 이야기
세라 자르 지음, 김경숙 옮김 / 살림Friends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딸 키우는 부모로서 가장 상상하기 싫은 일 중 하나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인 디에나가 겪은 일일 것이다. 어렸을 때도 물론 불안하긴 하지만 그것과는 또 다른 차원의 불안함이 아이가 크면서 늘어난다. 그래서 딸이 생리를 시작했을 때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 그런 것이었다. 더구나 요즘은 성문화가 개방되어서인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앞서고 있다는 것을 알고 얼마나 놀랐는지 모른다. 아직 어려서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진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하나의 일로 인해 생겨날 여파가 어느 정도인지 모르기 때문에 더욱 철없는 소리를 하는지도 모르겠다. 마치 디에나의 오빠와 스테이시가 아이를 키우기로 결정하면서 벌어지는 온갖 일들일 생각하지 못했던 것처럼 말이다.
우리는 흔히 미국인들이 성에 대해 상당히 개방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 책에서 디에나가 한때의 실수로 인해 겪게 되는 괴로움을 보면 어느 나라든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소문이 나고 그것으로 가족들이 괴로워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비아냥의 대상이 되는 것을 보면 말이다. 그러나 디에나가 자신의 과거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당당히 이야기하는 것이나 가족들과 나누는 대화를 보면서 우리와는 문화가 참 다르다는 것 또한 느꼈다. 만약 우리나라였다면 그러한 문제를 어떻게 처리했을까. 간혹 비슷한 주제를 가진 청소년 책을 만나긴 했지만 풀어가는 방식은 많이 달랐던 것 같다. 대개 부모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 주거나 아니면 디에나의 아빠처럼 부모가 아이에게 실망해서 외면하더라도 그러한 걱정의 주체는 부모가 짊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처럼 일을 겪은 아이 자신이 문제를 끊임없이 되짚어보고 자신의 상처를 보듬어가지는 않았던 것 같다. 즉 우리 청소년 문학에서는 주인공을 보호해야 하는 대상으로 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열세 살에 겪었던 일로 3년간 마음 고생을 하며 자존감이 낮아질 대로 낮아진 디에나가 자신을 그래도 괜찮은 사람이라고 인식하는 과정을 그린 책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러한 것은 친구 리와의 대화에서 종종 드러난다. 만약 리 같은 애였다면 남자 친구도 사귈 수 있었을 것이고 더 좋은 곳에 취직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어찌나 안타깝던지. 결국 디에나는 자신의 문제, 토미와의 일을 3년이 지난 후에야 해결하고 가족과의 관계도 회복하고 친구와도 잘 이야기되는 것으로 끝난다. 솔직히 여기서 토미와의 일을 해결하는 방식이 좀 의외였고 당황스러웠다. 이게 바로 문화의 차이라는 것이겠지. 그래서인지 디에나의 마음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다. 정교하고 세련된 문체이긴 한데 행간의 의미가 너무나 많아서(간혹 외국영화를 보면 상황설명을 굳이 하지 않고 몇 마디 대화로 수많은 것을 알려주는 특유의 위트가 생각난다.) 그것을 다 이해하는 것은 무리였나 보다.
내가 부모라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자꾸 디에나 부모에게 마음이 쓰였다. 그들이 조금만 디에나에게 신경을 써 주면 안 되었을까, 조금만 더 사랑을 표현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디에나도 그것을 계속 갈구했는데 그들은 외면했다. 특히 아빠가. 물론 아빠의 마음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인공이 디에나이다 보니 독자는 자꾸 디에나 편에서 생각하게 된다. 나중에는 아빠도 조금 변했고 더 변할 것을 암시하고 끝났지만 과연 정말 그들의 문제가 해결된 것일까 의문이 든다. 서로 시원하게 말을 하지 않았고 함께 고민한 흔적도 안 보인다. 그래서 분명 해피앤딩이 분명한데도 뭔가 떨쳐버리지 못한 어떤 것이 남는다. 확실한 것은 대런과 스테이시가 부부로서 잘 헤쳐나갈 것과 디에나가 자존감을 회복했다는 정도. 물론 인간에게, 특히 청소년에게 자존감 회복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