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복자 펠레 ㅣ 레인보우 북클럽 10
마르틴 안데르센 넥쇠 지음, 정해영 옮김, 최창훈 그림 / 을파소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가만 보면 어른책 뿐만 아니라 어린이 책에서도 영미권 이외의 문학은 그다지 접할 기회가 없었던 것 같다. 그나마 프랑스나 독일 문학은 접할 기회가 좀 있었지만 이 처럼 덴마크를 배경으로 하는 책들은 거의 기회가 없었다. 게다가 주인공은 스웨덴에서 태어나 덴마크로 일을 하러 떠난 경우이므로 범위는 더 좁아진다.
영화로도 나왔다지만 그에 대한 사전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로 이 책을 접했다. 대상이 청소년 이상이라지만 일단 두께가 상당해서 은근히 걱정을 했다. 뭐, 항상 읽고 나면 그럴 필요가 전혀 없었다고 느끼는 것은 항상 똑같지만 말이다. 시간에 쫓기는 상태에서 마음도 불편한 채로 읽어서인지, 아니면 묘사가 거의 없이 상황만 따라가는 현대적 경향의 책을 주로 읽어서인지 처음에는 집중이 잘 되지 않았다. 게다가 스톤 농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왜 그리 많은지.
주변의 토지를 조금씩 사들여 거대한 농장을 이룬 스톤 농장에서 일하게 된 어린 펠레는 비록 어머니가 없고 가난하지만 가장 든든한 후원자인 아버지 라세 덕분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한다. 주변의 대개의 사람들이 노동을 하며 싸움을 일삼는 것을 보며 생활하기 때문에 나쁜 길로 빠지려면 얼마든지 그럴 가능성이 있지만 펠레는 그 길로 살짝 들어섰다가도 다시 빠져나온다. 그리고 어느 것이 옳은 길인지 스스로 판단하는 힘도 갖게 된다. 게다가 다른 사람에게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도 결코 좋지 않다는 것을 체득하고는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표정도 읽으려고 노력한다. 거기에는 물론 아버지의 사랑과 믿음이 바탕이 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여덟 살의 어린 나이에 농장에 들어가서 고된 노동을 했던 펠레가 어느덧 자신의 앞길을 스스로 찾아나설 만큼이 되자 아버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곳을 떠나기로 한다. 그렇게 펠레는 어딘가로 가기 위해 스톤 농장을 떠나면서 이야기는 끝난다. 사실 마지막이 가까워져도 정복자 펠레라고 이름 붙일 만한 어떤 일을 하지 않아서 참 의아했는데 뒤에 있는 작품해설을 보고야 알았다. 전부 4부로 된 작품이라니 이제 서두가 끝났을 뿐이다. 막심 고리키가 이 소설을 가리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작품이라고 했다는데 아마도 당시의 사회상을 잘 표현했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단순히 묘사만 한 것이 아니라 약간은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고. 원래 이런 책은 마지막 권까지 쌓아 놓고 읽어야 하는데 아쉽다. 나머지는 언제 나오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