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머 사이언스 1 - 알 수 없는 포유류 만화 판타지 생물계 대모험 10
곰돌이 co. 지음, 김신중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원래 만화에 익숙하지 않아서 아이들보다 읽는 속도가 느리다. 글을 먼저 본 다음 다시 그림을 자세히 보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아이들은 그 두 개를 동시에 보는지 나보다 훨씬 빨리 본다. 그러다보니 만화를 기피하게 된다. 하지만 이것도 익숙해지는지 아이들 만화를 함께 보다 보니 속도가 조금은 빨라졌다. 그리고 특히 이 책처럼 완결되지 않은 이야기일 경우 아쉬워하는 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렇다. 이 책도 결정적인 순간에 끝나버린다. 어찌나 아쉽던지. 벌써 다음 권을 기다릴 정도다. 

만화에서는 항상 주인공이 어리버리하거나 천방지축 말썽꾸러기다. 또 소 뒷걸음질 치다가 쥐 잡는 식으로 운 좋게 위기를 모면하거나 문제를 해결한다. 주인공 호머 역시 마찬가지다. 태어날 때부터 다른 동물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할 뻔하지만 나무늘보 나이룽 덕분에 모습을 바꾸고 살아간다. 마법을 배우기 위해 나이룽을 스승으로 모시지만 호머는 밭만 간다. 하지만 호머에게는 대단한 능력이 있단다. 바로 남을 진정으로 도와줄 때 발휘할 수 있는 축복마법이란다. 

어쨌든 마법사의 숲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나자 전사를 뽑기로 하는데 당연히 호머도 출전을 한다. 그리고 매번 간신히 관문을 하나씩 통과한다. 문제는 모두 동물에 관한 것인데 사실 나도 잘 모르겠다. 크로커다일과 엘리게이터가 다르다는 건 알겠는데 어떻게 다른지는 모르겠다. 그러니 호머가 헤매고 있어도 별로 답답하지 않다. 어차피 나도 모르니까. 알을 막 낳으려고 하는 방울뱀이 상태가 이상해져서 어떻게든 도와줘야 할텐데 하필이면 거기서 이야기가 끝난다. 어휴, 과연 호머가 어떻게 도와줄까. 그러면 호머에게 축복마법이 생기겠지. 혼자 뒷 이야기를 마음대로 상상해 본다. 

동식물의 분류 기준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 걸 보니 예전에 무턱대고 외웠던 종속과목강문계가 생각난다. 그런데 척삭동물이라는 말은 처음 들어보았다.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구분하는 줄로만 알았다. 그러니까 등뼈가 없어도 척삭이라는 물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척삭동물이 더 범위가 넓은 것이란다. 여하튼 이렇게 또 하나 배웠다. 아이들은 이런 정보 페이지를 읽기까지 조금 시간이 걸리겠지만 재미있게 지식을 채워나가는 것만은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