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선생님 다산천자문 2 - 사람의 도리와 사회생활
이덕일 지음, 김혜란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자와는 인연이 없는 관계로 한때는 애를 먹었다. 학교 다닐 때 전공 관련 책은 괜찮은데 교양이나 교육학 책은 웬 한자가 그리 많던지. 당시는 한자를 그다지 중시하지도 않았고 학교에서 시험 보기 위한 것만 간신히 외웠으니 그럴 수밖에. 게다가 지금은 신문도 한자가 거의 없어서 얼마나 다행이던지. 하지만 답답할 때가 있다. 특히 읽는 것은 어느 정도 되는데 쓰려고 하면 가물가물 하는 것이 도저히 모르겠다. 그래서 한자 공부를 하려고 책도 사 놓았으나 책꽂이에서 꺼내지도 않은 채 그대로 있다. 

큰 아이가 어렸을 때 가장 먼저 공부한 것이 한자였다. 막 한글을 떼고 나서 한창 공부에 목 말라 할 때 마주친 게 바로 한자 학습지였던 것이다. 그러나 쓰는 것이 많아지자 서서히 밀리기 시작하더니 나중에는 하기 싫단다. 그래서 그만 둔 것이 지금까지다. 이제는 한자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나도 알기에 차마 강제로 시키지는 못하겠다. 아이의 고충을 너무 많이 이해해줘도 안 되는데... 

어쨌든 아이가 이제 한자의 필요성을 서서히 느끼고 있다. 당장 학교에서 배우니 어쩌겠나. 그렇다고 무작정 천자문을 처음부터 하자니 엄두가 안 난다. 또 솔직히 그렇게까지 할 생각도, 자신도 없다. 그런데 이런 천자문 책을 만났다. 다산 천자문이라고 되어 있길래 다산 정약용 선생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했더니 아무 의미없이 나열된 천자문 배열을 다산 선생이 연관된 뜻을 가진 글자끼리 모아서 만든 것이란다. 그 천자문을 저자가 조금 다듬어서 세 권짜리로 펴낸 것이 바로 이 책(이것은 그 중 2권)이다. 아무 관련이 없는 것을 무작정 외우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된 뜻을 가진 글자 네 개를 모아 외우니 훨씬 의미있게 다가온다. 물론 나는 아이들에게 외우는 건 아직 무리라서 여러 번 읽어보기만이라도 하게 할 요량이다. 

한자는 중국의 글자라고 하지만 이미 우리 글자의 상당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무시하고 넘어갈 수가 없다. 아니 꼭 필요하다. 간혹 구구절절 설명하는 것보다 한자의 뜻을 이야기하는 게 이해가 훨씬 빠를 때가 있다. 우리말이 아름답기는 하지만 한자도 장점이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사실 우리말의 상당 부분을 한자가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자를 당연히 알아야 한다. 어렵다고 무조건 피하기만 하려는 아이들에게 이 책으로 재미있게 시작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