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진짜 나일까 - 제6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미래의 고전 5
최유정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이제 막 초등학교를 벗어난 시점에서 이 책을 보니 새로운 기분이다. 그리고 한편으론 이게 과연 아이들의 생활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완전 어른 사회의 축소판이라는 생각도 든다. 가끔 아이로부터 남자애들이 정말 텔레비전에 나오는 것처럼 싸웠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한 두 번은 선생님께 심하게 대든 친구가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건주처럼 그런 아이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 그러나 내가 아이들의 생활을 일일이 파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 주변에서 일어난 일을 기초로 전체를 평가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건주와 같은 아이는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다만 그런 사실을 믿고 싶지 않아서 억지를 부리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대개 동화에서 두 가지 형태의 인물이 등장한다. 건주처럼 가정에서 충분히 인정받거나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상태-즉 문제가 있는 가정-에서 학교에서 문제아로 찍히는 아이와, 은찬이처럼 학교에서 모두로부터 인정받는 그야말로 성격 좋고 공부도 잘 하지만 본 모습은 비열한 아이다. 후자의 경우 부모는 자신의 아이를 지나치게 보호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 자칫 남의 아이를 무시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 책에서도 그 두 가지 인물상이 그대로 나타난다. 다만 여기서는 은찬이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시우라는 인물이 은찬이를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건주와 시우의 시점이 교대로 서술되다가 마지막 화해할 즈음에서는 둘을 모두 아우르는 시점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깔끔한 기분마저 든다. 아무래도 우리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마무리 해주는 방식을 좋아하나 보다. 

아이들의 문제에 어른이 지나치게 끼어들지도 않고, 그렇다고 전적으로 어른은 뒤로 물러나 있는 것도 아니다. 상담 선생님이 중간 역할을 잘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선입견으로 모든 것을 판단할 수밖에 없는 학교 선생님과 달리 새로 오신 상담 선생님은-물론 직업 자체가 그렇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모든 아이들을 똑같이 생각하려고 애쓴다. 그래서 건주의 담임 선생님이 건주만 상담을 받으면 된다고 고집부리는데도 굳이 은찬이까지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우겼던 것일 게다. 문제가 발생하면 어느 한 쪽의 일방적인 잘못이란 없는 법이니까. 그러나 담임은 끝까지 은찬이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그러다 마지막에 시우의 커밍아웃(?)으로 은찬이의 본 모습을 알았겠지. 그렇지만 여기서는 은찬이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에 대해서는 신경쓰지 않는다. 주인공은 건주와 시우니까. 

초등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소위 말해서 문제아가 나오는 이야기는 많았지만 이처럼 상담 교사가 갈등을 해결하는 이야기는 거의 본 적이 없다. 어쩌면 그래서 이 책이 더 주목을 받는지도 모르겠다. 작가의 말을 읽을 때부터 루이스 새커의 <못 믿겠다고?>가 생각났다. 그 책도 역시 상담 선생님이 문제아인 브래들리를 변화시키는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상담 교사가 아이에게 다가가는 방식이나 아이의 행동은 비슷하지만 아이가 변하는 계기는 차이가 있다. 그 책에서는 순전히 상담 교사와 아이의 신뢰관계가 아이를 변화시키지만, 여기서는 상담 교사의 진심을 건주가 우연히 엿듣고 난 후 변했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고 보니 이 책에서는 우연히 엿듣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결정적인 부분에서는 모두(건주도 시우도) 우연히 엿듣게 되는데 그게 좀 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