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역사를 만나다 - 고대 이집트부터 오늘날까지 패션을 만나다
정해영 글.그림 / 창비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행과는 거리가 먼 나와 달리 딸은 유행에 지나치게 민감해서 종종 마찰을 빚는다. 언제까지 유행을 쫓아다닐 거냐며 설득도 하고 이해도 시키려고 노력하지만 도무지 듣질 않는다. 어떻게든 튀고 싶어하고 최신 유행하는 옷이나 신발을 모두 꿰고 있는 것으로 보아 내 말을 들을 기세가 아니다. 그래서 이제는 어느 정도 인정은 해주되 생각없이 쫓아가기만 하는 것이 얼마나 부질없는 짓인지를 인지시키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도대체 유행이 뭐길래. 

그런데 그 유행이라는 것에 우리 딸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모든 것을 걸 정도로 생활하던 사람들의 역사를 만나고 보니 도저히 이해하기 힘들었던 딸을 조금은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심지어는 전쟁 중에도 유행이라는 것이 만들어졌고 그것을 따르는 사람들이 있었다니 어찌보면 인간의 심리가 그런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렇다면 그런 것과는 담을 쌓고 사는 내가 이상한 건가. 

여하튼 이 책은 고대 이집트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패션의 변화를 훑어준다. 그러면서 간간이 역사적 사실을 곁들이기도 하고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만한 것도 이야기한다. 물론 패션에 관한 책인 만큼 당시 유행하던 머리 모양이나 의상, 장신구 등에 대해서도 잘 설명해준다. 특히 로코코와 바로크, 르네상스의 순서가 무지하게 헷갈렸는데 시대순으로 설명해주고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또한 왜 그러한 시대가 열렸는지,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쉽게 설명해주고 있다. 이 한 권으로 패션의 변화만 읽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변천사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다. 그래서 패션과 역사가 만났다고 하는 것인가 보다. 처음에는 두꺼운 듯 느껴지지만 읽다 보면 전혀 그런 생각이 들지 않는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