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자연과 과학과 사람이 함께 만든 달력 이야기 토토 생각날개 6
김경화 글, 김숙경 그림 / 토토북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해가 시작되던 날 둘째가 텔레비전을 보더니 올해는 표준시를 일 초 늦췄다(앞당겼다고 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별로 신경쓰질 않아서)고 한다. 1초가 뭐 대수라고 매스컴에서 이야기하나 싶다가도 그 일 초가 모이고 모인다면이라는 생각을 하니 그냥 넘길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인간의 수명을 기준으로 고작 100년 정도를 생각하지만 지구 역사를 기준으로 하면 몇 만 년도 아주 짧은 것일 수 있으니까. 

해마다 새해가 되면 습관적으로 달력을 바꿔 놓으면서도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예전에 일 할 때 윤년 계산하는 방식 때문에 약간 고민하긴 했지만 별 생각없이 공식을 대입했고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책을 보니 그 때 공식에 들어가던 상수가 왜 그런 숫자였는지 알겠다. 

지금은 당연하게 여겨지는 달력인 그레고리력도 사실은 오차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세계 공통으로 매년 사용할 수 있는 달력도 만들어졌단다. 세계의 여러나라가 그레고리력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으나 세계력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금시초문이었다. 달력을 바꾼다는 것이 단순히 눈으로 보는 날짜를 바꾸는 것이 아니기에 바꾸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렇듯 달력의 이모저모에 대해 알려주고 요즘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음력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있다. 뒤에는 우리의 절기와 명절에 대한 것도 알려주고 있다. 사실 처음에 책을 넘겨 보았을 때 외국 작가의 책인 줄 알았다. 겉표지도 그렇고 삽화도 이국적인 분위기가 풍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작가의 그림이란다. 여하튼 이 책을 보면 새해 시작 즈음에 아이들과 달력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