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택 선생님이 챙겨 주신 고학년 책가방 동시 - 섬진강 작은 학교
김용택 엮음, 오동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어렸을 때 토끼를 기르자고 성화를 했었다. 집안에서 토끼를 기르다니 말도 안 된다며 딱 잘라 거절했다. 그러자 아이들이 외할머니와 외할아버지께 조르기 시작했다. 결국 두 분은 장날 시장에서 토끼를 한 쌍 사오셨다. 처음에 게약은 아이들이 외가에 갈 때마다 토끼밥을 주기로 하고 길렀는데 웬걸. 처음 며칠만 토끼를 들여다보더니 그 다음부터는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결국 토끼 밥은 온전히 외할아버지 차지가 되었다. 그렇게 불어난 것이 지금은 50여 마리가 넘는다. 

들에서 늦게까지 일하고 들어오신 날도 어김없이 토끼 밥을 챙겨주신다. 밥 주는 거 귀찮다며 팔아야겠다고 하신 게 벌써 일 년도 넘었다. 문득 김녹촌 시인의 '못 파는 토끼'라는 시를 읽는데 어쩜 그리 우리 아버지 같은지. 아버지가 밥을 주면서 토끼와 이야기하시는 모습이 눈에 어른거린다. 가을이면 겨우내 먹일 토끼밥을 장만하시고 새끼를 낳으면 다른 사람이 볼까봐 토끼장을 가려주곤 하신다. 그러니 어찌 쉽게 팔 수 있을까. 

여기에 있는 시들을 가만히 살펴보니 자연과 관련된 것들이 참 많다. 만약 밖에 나가서 놀지도 않고 오로지 공부만 하는 아이가 이런 시를 읽는다면 과연 얼마나 공감할까. 시를 한 편 읽고 위에서 내가 느꼈던 저런 느낌을 받을 수 있을까. 아니, 멀리서 찾을 것도 없이 우리 아이들만 보더라도 경험해 보지 않은 것을 공감할런지 의문이다. 그러기에 충분히 보고 몸으로 부딪치며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인가 보다. 경험이 풍부하다는 것은 결국 더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다. 그러니 집안에서 글로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직접 몸으로 느낄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줘야겠다. 그래야 이런 시를 읽어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