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란요란 푸른아파트 문지아이들 96
김려령 지음, 신민재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에 있어 집의 의미는 무엇일까. 단순히 주거의 의미만 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아니, 오히려 투자의 대상이라는 인식이 훨씬 크고 그 다음이 안정된 주거를 위한 것일 게다. 그래서인지 어렸을 때는 이사가는 것이 큰 일이었는데 요즘은 오히려 한 곳에서 오래 머무는 것이 이상하게 보이기까지 한다. 좀 더 넓은 곳으로, 좀 더 새 아파트로 이사 가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니 집에 대한 애착이 덜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내 부모 세대만 하더라도 한 집에서 몇 십 년 사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아마도 이 책에 나오는 기동이 할머니와 같은 마음이 아니었을런지.

아파트가 지어지기 시작하던 초창기에는 주로 5층짜리 아파트였다. 그래서 그것들이 지금은 재개발 아파트로 지정되어 주변의 다른 아파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높이로 변신을 한다. 여기 나오는 푸른아파트도 꼭 그런 아파트다. 다만 처음에는 재개발이 된다고 했다가 여차저차해서 다시 취소되었고 그러다 다시 재개발 하기로 한 낡은 아파트다. 지은 지 40년이 되었다고 하니 상상이 간다. 이 책은 독특하게도 4개 동인 푸른아파트 건물들이 자신이 사는 동 사람들을 살펴보고 보듬어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그렇다고 움직일 수 없는 아파트들이 커다란 사건을 만드는 것은 아니고 그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보여줌으로써 동화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사람에게 개성이 있듯 아파트 각 동도 개성이 있다. 그러면서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자기 동에 사는 사람들에게 애정을 갖고 때로는 허물을 덮어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주로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인물은 기동이와 기동이 할머니다. 아들 그러니까 기동이 아버지는 유일하게 남은 할머니의 마지막 보금자리까지 탐을 내다가 할머니가 거절하자 급기야 자기의 아들인 기동이를 떠맡긴다. 기동이가 처음엔 무척 심술을 부리지만 차츰 자신이 좋아하는 만화를 그리다가 결국 친구들과도 잘 지낸다. 그리고 무엇보다 잘 된 것은 바로 그토록 만나고 싶어했던 만화가를 만나 본격적으로 만화를 배우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기술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인간적인 끈끈한 정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분명 만화를 대하는 진정한 마음도 배웠으리라 본다.

초등학교 3학년이 전학 온 아이를 대뜸 힘으로 대결하려 한다는 게 실제에서 얼마나 일어나는지는 모르겠으나(내 아이나 주변의 아이를 보건대 그런 일은 거의 없었기에 하는 말이다.) 그 사건이 기동이에게는 전화위복이 된 셈이다. 처음에 온 아파트 건물에 낙서를 하고 다니던 기동이가 여자친구 때문에 금방 그만두었다는 것이나 갑자기 착해진 것이 조금 의아하긴 하지만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에서 더 자세한 심리묘사를 바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무생물인 아파트 건물을 의인화해서 그들로부터 이런저런 얘기를 듣다 보니 정말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이 이런 책을 보면 아이들도 무생물인 아파트를 다시 보지 않을까. 나아가 한 번 더 생각하고 사물을 보게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