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미새는 들소 몸에서 기생충을 청소해요 - 둥지공생 공생과 기생 6
브리지트 자일스 지음, 김승태 옮김 / 다섯수레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사실 공생에 대해서 어렴풋이 알고 있지 자세히 알지 못한다. 그나마 이 시리즈의 책을 보고 공생에 이렇게 많은 종류가 있는지 새롭게 알았다고 해도 될 정도다. 흔히 공생은 좋은 것이고 기생은 나쁜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나만 그런가?) 종류가 다른 두 생물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 모두 공생이라고 부른단다. 따라서 기생도 공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하긴 사람도 혼자는 살아갈 수 없듯이 생물도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법이지. 그렇다면 공생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라고 해도 되겠다. 

이 책에서는 공생 중 동거동물, 호텔 식물, 청소동물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항상 느끼는 거지만 생명체는 어쩜 이렇게 기발한 방법으로 살아가는지 신비롭기까지 하다. 영화 <니모>로 잘 알려진 흰동가리와 말미잘은 동거동물이란다. 이럴 때는 서로에게 도움을 주니까 상리공생이라고 할 수 있겠지. 브로멜리애드라는 식물은 잎그릇에 물을 저장해 놓는데 그곳에서 새끼를 키우는 게도 있단다. 아주 작은 웅덩이인 셈인데 그곳에도 생명체가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딸기독화살개구리는 자신의 올챙이를 그 웅덩이로 옮기기 위해 등에 태우고 나무로 올라간다. 특히 브로멜리애드는 자체가 땅에 뿌리를 박고 사는 식물이 아니라 줄기에 붙어 사는 착생식물인데 거기에 또 붙어 사는 동물이 있는 셈이다. 이러니 어찌 자연이 신비롭지 않을까.

아이들은 생생한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책에 흠뻑 빠진다. 글이 좀 많다 싶을 때는 사진을 보며 거기에 있는 설명을 보아도 충분히 많은 양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 나오는 동식물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곳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암튼 아이들 책 보며 어른인 나도 많은 것을 배운다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