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사진에 박히다 - 사진으로 읽는 한국 근대 문화사
이경민 지음 / 산책자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사람은 대개 내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에 대해서는 세세하게 알고 있고 변화에 민감하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는 그저 존재한다는 것만 의식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잠시 해본다. 사진이란 그저 지금 내가 찍는 것만 생각했기에 사진의 역사나 사진관의 역사에 대해서는 궁금하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그냥 언젠가는 있었겠지 하는 정도였다고나 할까. 그런데 이 책의 시작 부분에서는 사진관을 누가 처음 차렸는지를 여러 자료를 보여주며 이야기하는 것을 보고 내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 자료가 누군가에게는 중요할 수도 있다는 것을 다시금 인식한다. 

만약 내가 감회에 젖어 지금 하드 디스크 용량이 기가를 넘어 테라까지 언급되고 있는 것을 예로 들며 예전에는 하드 디스크도 없이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만 있었다고 이야기한들 나와 같은 감흥을 느끼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러니 여기에서 사진의 역사를 열심히 설명하지만 그 보다는 사진 뒤에 숨어 있는 역사적 사실이나 지식에 더 관심있어 했던 나 같은 사람은 처음에 조금 당황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책을 덮을 즈음에는 사진을 볼 때 단순히 보여지는 것만 봐서는 안되며 그 뒤에 숨어 있는 의도와 당시의 문화를 함께 읽어야 함을 깨닫는다. 모든 것이 마찬가지지만 말이다.

지금도 반드시 주민등록증에 사진을 넣어야 하고 여권에는 더 까다로운 규정을 적용한 사진을 넣어야 하는만큼 사진은 언제부턴가 개인은 감시하는 도구가 되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많은 일을 겪으며 살아가는 현실에서 그것을 무작정 부정할 수도 없다. 그것이 권력자들의 편의를 위해서든 어떻든 간에 이미 그것은 당연하게 생각하도록 세뇌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근대가 시작됨과 동시에 바로 식민지로 들어서는 바람에 많은 것을 잃는 계기가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스스로 법을 만들 여유도 없이 일본의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으니까.

안중근 사진이 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흥미롭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것을 안중근의 애국심에 초점을 맞춰서 그 사진을 보며 애국심을 고취시키는데 사용한 반면 일본인은 그것을 반대하면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본보기로 생각하고 있었단다. 이렇게 하나의 표상에 대해서 각기 다른 해석이 존재하고 각기 다른 의도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당시의 사진은 무조건 겉에 보이는 것으로만 해석하고 판단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을 거듭 이야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