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봉 이광희 선생님의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1 10살부터 읽는 어린이 교양 역사
박은봉 외 지음, 김경옥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어른용 책을 보고 반해서 선물도 하고 수시로 들춰보곤 했다. 그런데 거기에 있는 대부분의 이야기들이 역사를 배우는 아이에게 유익한 내용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혼자만 읽어야 한다는 점이 못내 아쉬웠다. 그래서 아쉬운 대로 읽은 것을 아이에게 설명해 주곤 했다. 그런데 아무리 설명을 잘 한다고 해도 내게서 한 번 걸러지는 것이므로 아이에게 제대로 전달이 되는지, 내가 제대로 설명은 하는 것인지 알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제 그런 걱정할 필요가 없어졌다. 어린이용 책이 이렇게 나왔으니까. 게다가 내용이 많았던 것을 어떻게 아이들에게 설명해 주려나 걱정했는 머리에 쏙쏙 들어오도록 대화 형식으로 꾸며서 읽는데 그다지 어렵지 않다. 

처음에 이 책을 읽고 우리가 얼마나 많은 것들을 잘못 알고 있었나 새삼 깨달았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문제는 학교에서는 아직도 그렇게 배우고 있다는 것이다. 고조선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신나서 아이에게 설명해 주었는데 마침 역사를 배우고 있어서 그 부분이 나왔다. 그런데 이 책에서 잘못되었다고 지적하는 내용으로 나와 있어서 아이가 내게 물어봤던 기억이 난다. 그때 참 난감했었다. 오죽하면 선생님께 문의를 하기까지 했을까. 결론은 아직은 정설로 인정을 못 받았기 때문에 교과서에 있는 그대로 배워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게 바로 우리가 처한 현실이다. 

옛이야기에서도 많이 나오는 온달과 평강 공주에 대한 역사적 근거를 대며 이야기하고, 원효대사가 깨달음을 얻는 과정의 일화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도 이야기한다. 또한 어쩌면 아이들이 가장 충격받을지도 모르는 문익점의 목화씨에 대한 이야기도 실은 그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흔히 붓두껍에 목화씨를 숨겨서 몰래 들여왔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당시 정황으로 보건대 그렇지 않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원래 이야기는 시간이 지나면 과장되기도 하고 변하기도 하는 것인데 우리는 그것을 고증없이 받아들여서 잘못 전해진 것이다. 그런데 만약 잘못되었다는 부분에서 그쳤다면 약간은 불편하지 않았을까 싶다. 대단한 사람으로 알고 있었는데 아니라니 그럴 수밖에. 그러나 이 책에서는 비록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과장되고 변할 수도 있지만 문익점이 목화씨를 가져왔다는 사실 자체는 대단한 것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원효대사도 어떤 계기로 깨달음을 얻었는지 모르지만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변하지 않는 의의에 대해 확실하게 이야기를 해주고 있어서 더욱 마음에 든다.

여기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들이 아직 많은 학자들로부터 정설로 인정받지 못했기에 교과서에까지 반영되려면 얼마나 시간이 흘러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도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배우는 것과 알고 배우는 것은 큰 차이가 있으리라 본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앞으로 아이들이 이끌어 갈 시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책이다. 역사란 단순히 과거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재해석될 가능성이 있고 변화 가능하며 현재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것임을 다시 한번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