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제트의 초록양말 파랑새 그림책 74
카타리나 발크스 글 그림, 조민영 옮김 / 파랑새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대개 어린이 책을 읽으면 내용이 어떻게 진행될지 알 수 있는데 이 책은 몇 번이나 빗나갔다. 우선 오리처럼 보이는 리제트가 나들이를 가다가 양말을 줍는 장면에서 한 번. 처음에 한 짝을 주웠을 때 이렇게 예쁜 양말을 줍는 것은 흔치 않은 행운이라고 이야기한다. 사실 리제트가 양말을 주워서 주인을 만나 돌려주는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오히려 나머지 한 짝을 찾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 나온다.

그러다가 한 짝을 못 찾아서 실망한 채 집으로 돌아온다. 엄마가 깨끗하게 빨아준 양말을 보고 친구 베베르는 모자 아니냐며 머리에 써 본다. 그럼 그냥 여기서 모자로 쓰는 것으로 끝나는구나. 그러나 역시 아니다.

그리고 다음 장면에는 마투와 마토슈가 리제트가 그토록 찾아 다니던 양말 한 짝을 들고 있다. 착한 친구들이 리제트를 위해 양말을 찾아서 갖고 오다니. 훈훈한 이야기인걸. 그러나 이 역시도 빗나갔다. 둘은 심술궂게 일부러 연못 속에 빠트린다. 처음에 리제트가 양말을 찾아다닐 때 만났을 때는 착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완전 빗나갔다. 그런데 나중에 다시 그림을 보니 좀 심술궂게 생기긴 했다.

결국 양말을 못 찾고 집으로 돌아온 리제트에게 엄마가 양말과 똑같은 모양의 나머지 한 짝을 떠 준다. 그래서 베베르와 리제트는 똑같은 모자가 생겼고 심술궂은 마투와 마토슈 '덕분에' 물고기에게도 담요가 생겼다.

이처럼 계속 예상이 빗나갔다. 마지막에는 모두 행복해지고 즐겁게 이야기가 끝났지만 처음에 주운 물건을 당연히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약간 당혹감을 느꼈다. 아이들이 읽는 책에서는 작은 것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것 아닐까라는 생각에서 말이다. 만약 리제트가 잃어버렸던 양말이었다면 그런 염려는 필요없었을 텐데. 내가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