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네 장 담그기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6
이규희 글, 신민재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년마다 엄마는 메주를 만드신다. 간장은... 글쎄. 매년 담그는지 잘 모르겠다. 그만큼 장 담그는 것은 나와 상관없는 일이 되어 버린 것이리라. 시골에 계신 부모님은 올해도 어김없이 콩을 수확해서 책에 나오는 것처럼 도리깨로 콩을 털었다. 둘째는 할아버지가 하는 모습을 보고 쉬워보였는지 자기도 하겠다고 덤볐다가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도리깨를 내려놓았다. 

그리고 얼마 후에 시골에 갔을 때는 마침 콩을 삶아서 메주를 만들던 날이었다. 아이들은 그것이 그저 신기한 일이며 네모로 메주 만드는 일이 장난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것은 일 년 음식을 책임질 귀중한 과정이다. 메주가 잘못되면 고추장도 된장도 간장도 모두 잘못되는 것이니까. 하지만 말은 이렇게 해도 정작 직접 해 본 적은 없으며 그나마도 엄마 혼자 하시기 때문에 볼 기회도 줄어들었다. 이 책을 보니 새록새록 기억이 난다. 아, 맞아. 이렇게 햇었지하고 말이다.

콩을 수확해서 메주를 만들고 띄운 다음 그것을 가지고 간장을 만드는 과정을 찬찬히 보여주고 있는 이 그림책은 꼭 살아남았으면 하는 전통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미 도시에서는 메주를 직접 만드는 집도 없을 뿐더러 장을 직접 담그는 사람도 거의 없다. 그러니 아이들은 이런 모습을 본 적도 없을 것이다. 이렇게라도 책으로 보여주면 적어도 기억에서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테니 얼마나 의미있는 작업인가.

지금도 간장을 담글 때 금줄을 치고 버선을 다는 집이 얼마나 있을까. 그 안에 숨어 있는 이야기가 재미있다. 실은 나도 처음 알았다. 간혹 항아리 겉표면에 유약을 발라 반짝이는 것이 있는데 거기에 장을 담그면 장 맛이 덜하다고 한다. 바로 숨 쉬는 항아리가 아니기 때문이라지. 이처럼 하나하나가 모두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건만 우리가 그것을 지키고 계승시킬 수 있을지 모르겠다. 지금의 어른들이 그 역할을 해야하는데 나도 전혀 모르니... 그림책을 보며 별 생각이 다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