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된 친구들 (그림책 + 한글자모스티커 + 놀이용공책) - 한글자모 예술놀이책 -1 재미마주 A'Q시리즈
이호백 글.그림 / 재미마주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에게 한글을 처음 가르칠 때 통문자로 할 것인가 아니면 구조적으로 접근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물론 특정 교재로 가르칠 때야 고민할 필요가 없지만 양육자가 직접 가르치기로 결심하면 고민되는 것이 사실이다. 아마 내 경우는 그냥 통문자로 가르치고 나중에, 그러니까 한글을 다 이해하고 나서 자음과 모음의 원리에 대해 이야기했던 것 같다. 그런데 한글의 원리에 대해 조금 더 깊게 고민하고 난 후에 보니 단순히 글자를 읽는 것과는 상관없이 자모체계의 과학성은 꼭 알고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곧 한글의 우수성이니까.

아마도 자음과 모음을 결합해서 글자를 만들어 보는 기쁨을 누린 아이들이 있을 것이다. 가끔은 사용하지 않는 글자를 만들어 놓고 발음을 어떻게 하느냐고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고. 이처럼 한글의 자모는 일종의 놀잇감처럼 사용해도 된다. 그렇다면 글자만 가능할까. 이 책을 보고 나면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빨간 표지를 넘기면 나타나는 원색의 그림들. 그런데 그 그림은 바로 한글의 자음이다. 이어서 어떤 그림이 나타나는데 그것도 자음과 모음으로 만들어졌다. 토끼도 나오고 강아지도 나오고 나비, 잠자리 등 생각지도 못했던 모양들이 연달아 나온다. 그럴 때마다 입에서는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다른 것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자음과 모음으로만 이런 모양을 만들다니.

그런데 이것만으로 다가 아니다. 조금 더 넘기면 커다란 소가 두 페이지 가득 나오는데 어쩜, 눈이 커다란 소가 꿈벅꿈벅 앉아 있는 게 자음과 모음으로 만든 것이라고 믿겨지지 않을 정도다. 그리고 또 다음에 나오는 꽃밭은 어떻고. 아기자기 예쁜 꽃들이 모여있는 그림은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진다.

대개 한글을 가지고 만든 그림책은 자음이나 모음을 가지고 어떤 형상을 나타낸 것인데 반해 이 책은 자음과 모음이 무엇으로든 변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놀잇감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아이들이 한글을 친근하게 받아들이지 않을까. 특히 부록으로 들어있는 한글자모스티커를 가지고 놀며 아이들이 상상의 세계를 모험하다 보면 금방 한글과 친구가 될 것이다. 단순한 그림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 숨어 있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보는 순간 감탄사가 절로 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