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종합선물세트 메타포 10
신시아 라일런트 지음, 황윤영 옮김 / 메타포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원래 예전부터 현실적이었기에 가능성이 없는 일은 아예 관심갖지 않았다. 그래서 또래 친구들이 연예인에 열광할 때도 심드렁했으며 선생님을 좋아할 때도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었다. 마찬가지로 결혼을 한 이후로는 사랑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읽지 않았다. 일부러 안 읽었다기보다는 관심이 없으니 자연스레 멀어졌던 것이다. 그런데 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읽다보니 마음이 푸근해진다.

신시아 라일런트라면 일찌기 <그리운 메이 아줌마>를 읽으며 어쩜 이렇게 사람의 마음을 섬세하게 잘 잡아냈을까 감탄했던 기억이 있기에 관심없는 주제에도 불구하고 은근히 기대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다 읽고 난 후 지금은 당연히 읽기를 잘했다고 말하고 싶다. 또한 아직도 사랑이라는 것은 마음을 포근하게 만들어주고 세상을 살기 좋은 곳으로 생각하도록 만들어준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했다.

종합선물세트라는 말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나중에서야 그 말의 의미를 알았다. 사랑이라고 하면 주로 젊은 사람들이 결혼을 하기 전에 거치는 것쯤으로 인식하는데(그래서 이미 나랑도 상관없는 것으로 받아들였을 것이다.) 꼭 그렇지는 않다는 것을 여기 여덟 개의 이야기들이 말해 준다. 그리고 사랑이란 이루어지든 깨지든 둘 중 하나로 인식되는데 꼭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즉 여러 종류의 사랑이 골고루 나온다는 뜻이다.

상대방과는 전혀 상관없이 혼자만 사랑을 하는 경우가 있고, 속으로만 끙끙 앓고 말도 못하고 지나치는 사랑이 있는가 하면 뒤늦게 찾아온 꿈같은 사랑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또한 노년의 보다 성숙하고 완숙미가 느껴지는 사랑이 있도 있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가슴 뭉클하고 슬프고도 아름답게 느껴졌던 것은 마지막 이야기였다. 정말 원하지 않는 임신을 했고 아이를 낳자마자 입양시킬 생각인 사람들이 뱃속의 아기에게 이토록 사랑을 쏟을 수 있을까. 현실적으로 보기 드문 경우일지 모르나 이런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믿고 싶다. 다양한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며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했다. 그리고 나의 삭막한 감정이 조금이나마 회복된 것 같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