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도와주세요! 희망을 만드는 법 2
섀논 리그스 글, 제이미 졸라스 그림, 노경실 옮김 / 고래이야기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무슨 말로 시작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그저 이런 책이 필요없게 되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과 과연 그런 날이 오긴 올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 아마도 성폭력이라는 단어가 사라질 날은 영원히 없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좌절하고 있을 수는 없다. 어떻게 하면 예방을 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춰야겠지. 특히 요즘처럼 별별 일이 다 일어나는 세상에서는 더욱 더.

첫 장부터 살바도르 선생님은 깐깐하게 나온다. 교실에서는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려서는 안되고 자기가 할 일은 꼭 해야하며 친구들을 괴롭히거나 놀려서도 안된다고 못박는다. 어디 그 뿐인가. 친구 물건을 말도 없이 가져갔다고 바로 엄마에게 편지를 쓰는 것으로 보아 엄청 까다로운 선생님인가 보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성폭력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강하게 목소리를 높인다. 그제서야 이 책의 목적이 무엇인지 알겠다. 낯선 사람을 조심하라는 이야기는 유치원 때부터 교육을 받지만 그렇다고 아이들의 피해가 없는 것은 절대 아니다. 왜냐하면 낯선 사람보다 주변 사람이나 아는 사람에게 피해를 당하는 사례가 훨씬 많으니까.

이 책은 거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미 많은 곳에서 그와 비슷한 실험도 하고 강연도 해서 대부분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아직도 설마하는 마음이 완전히 가신 것은 아니다. 그러니 아이들은 오죽할까. 내가 없을 때 택배를 받아 놓은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말로는 혼자 있을 때 택배가 오면 그냥 가만히 있으라고 하는데도 행동으로 연결되진 않는다. 이 기회에 다시 한번 다짐을 해둬야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가 힘들 때 믿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믿음을 줘야겠다. 불미스런 일이 발생했을 때 그냥 혼자 덮고 넘어가는 경우는 후유증이 크지만 부모나 선생님과 함께 이야기하고 해결한 경우는 후유증이 거의 없다고 한다.

이야기 뒤에 나오는 해바라기 아동센터 임상심리전문가의 글이 많은 도움이 된다. 비록 알고 있는 내용이더라도 자꾸 되새겨야지 그렇지 않으면 남의 일처럼 여기곤 한다. 그러니 이렇게 자꾸 읽어서 잊지 않도록 해야지. 저자가 어렸을 때 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추상적으로 이럴 것이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과 아이들의 마음을 잘 표현했다. 어쩌면 그래서 더 신뢰가 가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