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과학자 이야기 3 - 아르키메데스에서 스티븐 호킹까지
손영운 지음, 김명호 그림 / 파랑새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다윈이 누군가에게 갈라파고스에서 잡아온 거북이를 선물로 줬는데 몇 년 전에 죽었다는 이야기를 읽었다. 다윈이라는 이름은 과학책에서 보던 인물이며 그 시대와 연관된 생물이 오늘날에 남아있다는 것이 마냥 신기했던 기억이 난다. 거북이야 원래 오래사는 동물이니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신기했다. 그러면서 한편으론 다윈도 그냥 한 시대를 살았던 사람이구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가 남긴 족적은 그냥 한 시대를 살았던 인간이 아니라는 것은 모두가 알 것이다.

다윈은 진화론을 발표하고 많은 비난을 받았다고 한다. 그도그럴 것이 무엇이든 과학적으로 증명된 뒤에야 당연하게 받아들이지만 처음 발견할 당시에는 말도 안 되는 소리로 취급받는 것이 어디 한 두 가지겠는가. 그건 비단 다윈만 그랬던 건 아닐 게다.

어린이를 위한 과학자 이야기 시리즈 마지막인 3권에서는 그러한 다윈과 완두콩으로 우성과 열성을 열심히 배웠던 멘델, 요구르트의 이름으로 기억되는 파스퇴르, 그리고 뉴턴과 함께 가장 많이 언급되는 아인슈타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리고 솔직히 학교 다닐 때는 들어본 기억이 없는, 그러나 인상에 많이 남았던 러더퍼드가 나온다. 또 대륙 이론설을 주장한 베게너와 유일하게 살아있는 과학자인 호킹까지 나온다.

이 세 권을 다 읽고나면 웬만한 과학자 이름은 다 들어보는 셈이다. 모든 것을 다 기억하진 못할지라도 어렴풋하게 기억에 남았다가 나중에 다시 들으며 그들이 내세운 이론을 배운다면 훨씬 수월할 것이다. 물론 그 목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과학자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어떻게 연구를 했는지 얼마나 오랫동안 참으며 연구를 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이 세상에 거저 되는 것은 없는 법이다. 아이들도 그것을 깨닫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