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곱 살의 털 사계절 1318 문고 50
김해원 지음 / 사계절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고 약간 외설스러운 털(?)을 생각했다. 그런데 책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오해였다는 것이 금방 드러난다. 그래, 그 나이에는 유난히 머리에 집착하곤 하는 것을 보았지. 조카가 머리를 길러서 친척들의 눈총을 샀던 적도 딱 열일곱 살 때였던 것 같다. 한동안 두발 자유를 외치며 자신들의 자유권을 되찾으려 했던 청소년들이 화제가 된 적도 있었으니 그다지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다. 그래도 여자 아이들의 머리만 생각했지 남자 아이들의 머리는 생각하지 못했다. 아마 아들이 아직 어려서 그랬을 것이다. 하긴 그 어린 아들도 요즘엔 머리를 기르겠다고 하긴 한다만.

요즘 고등학교에서도 과연 이런 일이 벌어질까라는 생각을 먼저 했다. 내가 너무 세상 물정을 모르는 것일까. 아니면 작가가 극적 구성을 위하여 20년 전에나 있을 법한 인물들을 현재로 불러들인 것일까. 어찌되었든 학생들이 느끼는 구속은 비슷할지도 모르겠다. 

가문 대대로 이발사를 천직으로 살아온 일호네. 그러나 일호 아버지는 없고 할아버지만 이발소를 꿋꿋이 지킨다. 할아버지 덕분에 일호는 엄하기로 소문난 학교의 두발 규제를 피해갈 수 있었다. 어디 피해가기만 했나. 일종의 표본이 되어 전교생의 눈총을 받는 처지까지 되었다. 그렇게 일호는 본의 아니게 모범생이 되었다. 이름이 왜 일호일까. 중간에 읽다 보면 '이호도 아니고 삼호도 아닌 일호'라는 부분에서 작가가 일부러 이름을 일호로 붙였구나를 느낄 수 있다.

그렇게 범생이로 살아가는 길은 비록 친구들 사이에서는 불편하지만 학교 생활 자체는 편하기 그지 없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역설적이게도 언제나 머리를 단정하게 깎아야 하고 머리칼을 함부로 다루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할아버지 '덕분에' 졸지에 문제아로 낙인 찍힌다. 물론 큰 사고를 치긴 했지.

특별해 보이지 않으면서도 어딘가 특별한 송일호 주변의 인물들을 따라가다 보면 여러 종류의 인간군상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절묘한 부분에서 불쑥 나타난 일호의 아버지는 우리가 대개의 책에서 다뤄지는 아버지의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 보호자로서가 아니라 미숙한 한 인간으로 그려져서인지 애착이 간다. 물론 그렇다고 내 남편이 그런다면 절대 용서 못하지. 비겁해도 어쩔 수 없다.

그리고 누구보다 멋진 것은 할아버지다. 결정적인 역할을 해서 절대 해결되지 않을 것 같은 문제를 졸지에 해결해 버렸으니까. 책 거의 끝부분까지 말도 없고(할아버지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일호의 설명 덕분에 알았다.) 별다른 역할도 없었던 할아버지가 그렇게 멋진 일을 해낼 줄이야. 어쩌면 그래서 더 감동적이었는지도 모른다. 원래 절대 변하지 않을 것 같은 사람이 변할 때 더 감동이 배가되는 법이니까.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작이라더니 역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