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홉스 리바이어던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11
손기화 글, 주경훈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철학자들이 쓴 책들을 읽기 시작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았다. 항상 이런 책을 읽고 나면 진작 이런 책을 읽었더라면, 그랬으면 공부를 지루하게 하지 않고 삶에 있어서 필요한 지식으로 받아들였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하긴 그 당시엔 이런 책이 있지도 않았고 철학 관련 책은 전공자나 특별한 사람들만 읽는 것인 줄 알았으니 말해 무엇하나. 그야말로 이런 책에 대한 갈증이 없었으니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상태였다고나 할까.

성서를 제대로 읽지도 않았고 세계사를 제대로 배우지도 않았기에 서양 철학이나 문학을 접할 때는 난감하다. 여기저기서 주워 들은 지식을 총동원해서 읽어야 하니 때론 꼬이기도 한다. 이미 여러 방식으로 나온 홉스의 리바이어던(비록 나는 읽지 않았지만)을 이번에는 만화로 만날 수 있다. 진작에 이 시리즈의 다른 책을 본 적이 있기에 만화라도 내용이 결코 가볍지 않다는 것을 안다.

최초의 사회계약론자라고 일컬어지는 홉스. 주로 군주정치를 옹호했지만 무제한적인 권한을 휘두르는 군주제가 아니라 시민이 부여한 권한내에서 통치하는 이른바 서로의 계약에 의한 군주제를 이야기했던 것이다. 그러니 군주제를 찬성하는 왕당파로부터는 왕의 권한을 전부 인정해 주지 않는 위험한 인물이라고 배척당하고 반대로 의회파로부터는 왕의 권한을 너무 많이 인정한다는 이유로 배척당한다. 어디 그 뿐인가. 종교의 부패와 타락을 정확히 인식하고 강하게 질책하면서 종교 관련자들로부터도 배척당한다. 때론 죽음의 위협까지 느낄 정도였단다.

홉스가 주장했던 것들을 읽고 있으면 때론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지금의 현실과는 많이 동떨어진 시대착오적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17세기에 이런 것을 주장했다는 점은 분명 시대를 앞서간 것이다. 간혹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이야기들이 있어서 정말 17세기에 주장했던 이야기가 많나 싶을 정도였다.

형식은 만화라지만 코믹스러운 장치만 들어 있는 그런 종류의 만화가 아니라 결코 가볍게 보아서는 안된다. 내용도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어려운 고전을, 그것도 철학 관련 고전을 저자의 책 그대로 읽으면 청소년 뿐만 아니라 나 같은 성인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고백한다. 그러기에 이렇게 누군가가 설명해 주는 형식이 내겐 딱 맞는다. 간혹 어느 말풍선을 먼저 읽어야 할지 몰라 헤매거나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은데 많이 생략되어 있는 점이 아쉽긴 하지만... 시대를 넘어서 지금 읽어도 전율을 느끼는 게 바로 고전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