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마의 성을 습격하라 즐거운 동화 여행 12
장 클로드 무를르바 글, 클레망 우브르리 그림, 김유진 옮김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장 클로드 무를르바의 책인 <바다 아이>를 읽으며 어쩜 이런 식의 구성을 썼을까 감탄했던 기억이 난다. 대개 어린이책에서는 일직선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그 책은 정말 일반 소설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독특했기 때문이다. 요즘은 개성있는 구성의 책이 많이 나와서 다소 신선한 느낌을 덜 받을 수도 있겠지만 당시 비슷한 구성의 책을 주로 보던 나에게 그 책은 작가의 이름을 발음이 어려운데도 불구하고 기억할만한 충분한 이유가 되었다.

염소나라에서 노래도 잘 부르고 언제나 즐겁게 사는 우리의 주인공 큰뿔비크가 우연히 다람쥐 비슷한 설치류의 동물을 맡게 되면서 큰뿔비크의 험난한 여정이 시작된다. 아니, 사실대로 말하자면 큰뿔비크가 시련을 당하고 염소나라를 떠날 작정을 할 때 이미 그의 시련은 예상되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가장 친한 친구와 자신이 사랑하는 염소를 축하해 주어야 하는 상황을 마지막으로 하고 길을 떠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황새가 큰뿔비크에게 보따리를 하나 떨어뜨려 준다. 거기엔 아주 작은 동물이 겨울잠을 자고 있었으며 잘 보살펴 달라는 편지도 함께 들어 있다. 그것을 보고 어떻게 그냥 모른체 할 수가 있겠는가. 당연히 큰뿔비크는 그 작은 동물을 잘 보살피기로 했지. 특히 피애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면 둘의 여행은 즐거움 그 자체다.

그렇게 여러 마을을 떠돌아 다니지만 둘은 사실 하이애나를 피해 도망다니는 중이다. 하지만 마음이 넓은 큰뿔비크는 피애에게는 그 말을 하지 않는다. 그러다 결국 피애를 잃어버리고 그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큰뿔비크는 그 사실을 회피한다. 피애를 지금까지 돌봐준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자기합리화를 시키면서. 하지만 독특한 램 박사를 만나서 자신의 마음을 들키고 또 자기의 속마음을 인정한다. 결국 둘은 피애를 찾아나서기로 의기투합한 것이다. 여기서 큰뿔비크의 모습은 어쩌면 그렇게 인간들의 내면을 잘 대변하고 있을까 내심 놀랐다. 사실 나도 요즘 많은 부분에서 힘들거나 어려운 일이 될 것 같으면 회피하고 애써 모른체 하려고 했었다. 그렇게 모른체 하고 있는 내내 마음은 결코 편하지 않다. 아마 큰뿔비크도 그런 마음이었을 것이다. 그러기에 램이 피애를 찾으러 가자고 했을 때 그 말을 대신해 준 것을 감사했던 것이겠지.

큰뿔비크와 램의 활약상은 한편으론 재미있으면서도 한편으론 참 어이없어서 헛웃음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어쨌든 둘의 활약 덕분에 피애와 피애의 여자 친구까지 무사히 구해낼 수 있었다. 기억이 왔다갔다 하는 램이라는 캐릭터 때문에 읽으며 한참을 웃었다. 하지만 이상하게 책을 읽는 동안 속도가 나질 않아 고생했다. 오히려 아이는 금방 읽던데... 내가 너무 이 작가에 대한 기대가 컸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일까. 정확한 것은 모르겠다. 아마도 딱딱한 문체에 익숙해져서 이런 식의 문체가 낯설게 느껴저서 그런 것은 아닐까 생각이 들 뿐이다. 하지만 그런 이유에도 불구하고 이 작가가 참 글을 잘 쓴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게다가 중간중간 들어있는 재치와 유머는 웃음짓기에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