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바퀴로 걷는 우리아빠 - 장애인은 불쌍한 사람인가요? 파랑새 인성학교 3
모르간 다비드 글 그림, 이재현 옮김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세상을 살아가면 갈수록 역지사지가 얼마나 중요하고 꼭 필요한 것인지 실감한다. 만약 역지사지를 생각한다면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놀리는 일도 훨씬 줄어들지 않을까. 우리나라에는 선천적 장애인보다 후천적 장애인이 훨씬 많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을 위한 사회적 장치는 거의 전무한 상태다. 그러니 결국 집안에만 있게 되고 점점 위축되어가는 악순환이 되고 만다.

소피의 아빠도 교통 사고로 휠체어를 탄다. 그러나 딸의 등교길을 배웅하고 소피도 그것을 전혀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다. 대개 어린 아이들이라면 남의 눈을 의식해서 아빠가 친구에게 보여지는 것을 싫어할텐데 소피는 전혀 그러질 않는 걸 보니 정신이 건강한 아이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모든 아이들이 소피와 같은 마음을 가진 것은 아니다. 놀리기도 하고 야유를 하기도 한다. 만약 거기서 피하고 달아난다면 더욱 위축된 생활을 하게 될텐데 소피는 정면으로 맞선다. 그리고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이야기한다. 나중에는 결국 친구들도 모두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과연 얼마나 이 이상적인 상황에 접근할 수 있을까. 특히 어린아이들은 자신들과 조금만 달라도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대신 이해시키면 금방 받아들이고 선입견을 갖지 않는다. 그러니 아이들을 무조건 비난할 것이 아니라 이해할 기회를 만들어주어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오히려 어른들일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피하고 힐끗거리고 심지어는 자신의 아이가 그 아이들과 못 놀게 하는 경우도 있다. 아마도 어렸을 때부터 이런 인성교육을 안 받았기 때문 아닐까.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도 80년대라고 하니 충분히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여하튼 이런 책을 보고 자란 아이들은 분명 올바른 생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