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마음에 세계지도를 걸어라 - 제이솔 학부모 핸드북 첫번째
오경숙 지음 / 제이솔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나름대로 확고한 육아원칙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괜한 고집은 아닐까 생각이 되기도 한다. 특히 다른 사람들의 교육방법을 접하면 불안한 경우가 적지 않다. 어제도 오랜만에 만난 친구가 5학년짜리 아이를 특목고를 보내기 위해 영어와 수학에 집중해서 학원을 보낸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면서 내게도 특목고를 보내려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하지 않겠냐고 이야기한다. 글쎄, 난 아직 특별히 어디를 보내야겠다고 마음 먹은 적은 없다. 만약 나중에 아이가 잘 해서 그쪽으로 갈 실력이 되고 원한다면 보내겠지만 지금부터 고생하고 싶지는 않다. 어쩌면 아이가 학원 다니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볼 용기가 나지 않는 이유도 있다. 그리고 아이의 공부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계획을 세워야한다고 생각하기에 주위의 그런 이야기에 그다지 신경쓰지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론 이러다가 나중에 후회하는 것은 아닐까 내심 걱정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내 생각과 일치하는 그런 사람을 만났다. 바로 이 책의 저자다. 물론 저자는 아이가 이미 원하는 대학에 들어갔고 원하는 일을 할 기회를 잡았으니 마음 편하게 이야기하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내가 생각한 아이를 키우는 방법 등에 대한 이야기는 모두 일치한다. 일일이 아이를 원격조정해 가면서 키우면 좋은 대학에 갈 수는 있을지언정 성인이 되어 자신의 일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게 지금까지의 내 생각이다. 그래서인지 책 속의 이야기들이 어쩜 그리 공감이 되고 위안이 되는지...

유치원 때부터 편협하거나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교육이 아니라 열려 있는, 그리고 소통하는 교육을 한다면 분명 그 아이들은 자라서도 자신의 길을 알아서 찾아가리라 본다. 이런 유치원 교육을 하는 곳이 소위 말하는 교육열이 높다는 신도시에 있다는 점에 약간 좌절을 하긴 했지만 그래도 이런 마인드를 갖고 있는 교육자가 있다는 것이 다행스럽다. 나도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지 않고 그 대신 많은 여행을 하고자 노력한다. 그리고 이젠 서서히 외국여행도 시도해 보려고 계획하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도 그런 이야기가 나오니 힘이 된다. 그래도 외국어 부분 등 몇몇 부분에서는 지나치게 내 고집대로 하려고 했던 점이 드러났다. 저자는 편견의 가장 큰 피해자는 결국 자신이라고 강조하던데 그 글을 읽으니 번쩍하는 느낌이다. 그래, 편견을 버리자. 모두들 지나치게 영어와 수학에 올인하는 세태를 보며 씁쓸하기도 하고 한편으론 불안하기도 했었는데 이 책을 읽으니 마음이 참 편안하다. 또 자신감도 얻었다.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내 편견이나 고집을 조금씩 고쳐가면서 아이를 키우면 되겠지. 아이를 돈 잘 버는 사람으로 키울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으로 키우기로 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