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오르간 마음이 자라는 나무 15
유모토 가즈미 지음, 양억관 옮김 / 푸른숲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둘째가 너무 순해서 누나에게 맨날 지기만 한다. 그나마 요즘은 조금씩 반항을 하기도 하고 대들기도 하지만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엄마보다 누나를 더 무서워했던 아이다. 현재 6학년인 딸은 얼마나 말이 빠르고 기가 센지 항상 동생을 들들 볶는다. 그런데 이 책의 주인공이 꼭 우리집 아이들 같았다. 나이도 비슷하고 누나와 동생이 있는 것도 그렇고. 게다가 동생은 늘 무엇이든 괜찮다고 하기 때문에 누나가 시기하는 것도 비슷하다. 물론 우리집 동생이 그 동생처럼 책만 보는 그런 모습은 전혀 아니지만.

처음에는 도대체 무슨 이야기인지 종잡을 수가 없었다. 도모미가 성장해 가는 이야기라는 것은 눈치로 알겠는데(책을 하도 보니 그 정도 눈치는 생겼다.) 어떤 식으로 성장을 나타낼까 내지는 오르간은 무슨 역할을 할까에 너무 집착했던 것 같다. 책을 덮을 때까지도 오르간은 내가 생각했던 것만큼 큰 역할을 하진 않았다. 병약한 동생과 함께 겪는 여러 가지 일들을 보며 남매 간의 정이 참 아름답게 느껴졌다. 과연 우리집 아이들은 그런 정을 알까. 괜히 감상에 젖어 책 내용과는 상관없는 곳에 관심을 가져보기도 했다. 

사실 요즘에 보았던 전개가 빠른 책을 보다가 이걸 읽으니 시간도 천천히 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이런 책은 읽고 나면 뭔가 묵직한 것이 느껴지고 잔잔함이 길게 남는다. 가족의 해체 위기에 놓여있는 것을 도모미는 옆집 할아버지와의 불화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동생 데츠도 말은 하지 않았지만 그렇게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 옆집 할아버지를 곤경에 빠트리려 하고 이유없이 미워하는 것이다. 물론 도모미 엄마와 아빠가 별거를 한 데에는 옆집의 영향도 있지만 그것은 최초의 원인에 지나지 않는다. 

아빠가 집을 나가고 남은 식구인 할아버지를 포함한 넷은 거의 남이다시피 생활한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데츠와 함께 폐품을 버리는 곳을 발견하고 그곳에서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며 남과 소통하는 법을 배운다. 남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마음을 알고 남에게 관심을 가져야 가능하다. 그러나 도모미 가족은 그동안 그것을 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제는 모든 것이 원만히 해결되어 온 가족이 함께 살게 되면서 도모미는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이제 더이상 예전의 아무 의미없이 생활하는 도모미가 아니며 올해의 봄은 작년의 봄과 다르며 내년의 봄도 분명 올해의 봄과 다를 것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예전의 자신을 잃어버린 어른들이 보기에 도모미가 이번 봄을 지낸 것은 단지 나이를 한 살 더 먹고 학교를 다른 곳으로 다닌다는 의미겠지만, 도모미가 느끼는 것은 그 어떤 것보다 큰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게 바로 마음의 성장이라는 것 아닐까. 

그런데 초반에 나오는 도모미의 꿈이 중간에도 계속 반복되는데 그 꿈의 의미가 무엇일까를 생각하기 보다는 내용을 너무 가라앉게 만든다는 느낌이 들었다. 작가가 어린 시절 고양이를 키웠던 것과 동생과의 일들을 기억하며 썼다는데 거기에 도모미의 꿈이 과하게 결합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잠시 들었다. 그래도 사춘기를 제대로 치르고 그것을 잘 극복하기 시작한 도모미가 대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